생물 유전자원 해당국 승인 촉각
나고야 의정서 시행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인천지역 화장품업계에도 발등의 불이 떨어졌다.

협약 시행으로 업계의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이지만 인천 화장품업체들은 제때 대응책조차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25일 화장품업계에 따르면 나고야 의정서는 생물 유전자원을 이용해 상품을 제조할 경우 해당국 승인을 받고 이익을 공유하는 협약이다.

각국의 생물자원 보호를 위한 조치이지만, 원료 수입의존도가 높은 한국 기업들에겐 로열티 상승과 자원수급 불안정 등의 어려움을 가져올 수 있다.

한국은 지난 5월 나고야 의정서 비준서를 유엔 사무국에 기탁해 8월 16일부터 당사국 효력이 발생한다.

한국지식재산연구원 조사 결과 국내 화장품 원료 중 해외 생물자원의 비중은 약 44%이며 이 중 중국 생물자원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전체 화장품 원료 중 20%가량을 중국 자원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중국이 다른 협약 가입국들보다 최고 10배 높은 0.5~10.0%가량의 로열티 규정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2016년 기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등록된 인천지역 화장품 제조사는 211개이다.

2015년 인천시 화장품업계의 전체 매출액은 8072억300만 원이다.

전체 매출액의 20%인 1600억 원이 중국 생물자원을 통해 얻은 매출로 가정할 때 매년 인천 화장품 기업에서만 최고 160억 원이 중국에 로열티로 지급되는 셈이다.

국내 일부 대기업은 전담팀을 꾸려 해외 생물자원 대신 국내 생물자원 사용을 늘리는 방향으로 대비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의 중소화장품 기업들은 관련 협약에 대해 알지 못하거나 알더라도 마땅한 대응책을 세우지 못하는 실정이다.

남동구 논현동 E사는 "협약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남동구 고잔동 G사는 "내용은 들어봤지만 아직 내부적으로 결정을 못 내렸다"며 "식약처나 관련기관 등으로부터 내려온 지침도 없어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협약 시행 이후 직격탄을 우려하는 업체들도 적지않다.

로열티로 인한 비용 증가는 자칫 연구개발 영역에도 차질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화장품 공동생산공장을 운영하는 주안산업단지 내 인천뷰티코스메틱(IBC)센터 모 입주기업 대표는 "통합연구소와 함께 머리를 맞대고 있지만 시행 방식에 대한 정보와 대응 가이드라인이 없어 논의가 제자리에 머물고 있다"고 털어놨다.

/신나영 기자 creamyn@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