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선 정책 토론회
학교운영 한계 지적
"보편적 복지 구현을"
'초등 돌봄교실' 운영 개선 등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운영 주체를 학교가 아닌, 국가와 지역사회 차원으로 확대·연계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역사회의 공감을 샀다.

20일 오후 수원 경기도교육복지종합센터 대강당에서 열린 '2017 초등 돌봄교실 운영 개선 및 마을협력 연계 정책 토론회'에서는 학교의 초등 돌봄교실 운영과 관련해 지역사회의 돌봄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정책토론회에는 경기도교육청, 경기도청, 지역아동센터경기남부지원단, 광명광성초, 수원선일초, 안양화창초 등 업무담당자들과 교장, 학부모, 초등보육전담사 등이 토론자로 나섰고 학부모, 지자체 관계자, 지역아동센터 대표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진행된 토크콘서트에서는 맞벌이 가정 아이들을 위한 돌봄 서비스가 시급한데도, 이를 담당하는 학교는 제한적인 돌봄 역할을 수행할 수밖에 없는 구조를 안고 있어 '보편적 돌봄 복지 구현'에 지역사회가 적극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모아졌다.

이날 기조발제에 나선 강현주 희망제작소 선임연구원은 '초등 돌봄 마을 협력 연계'를 주제로 '분산된 초등 돌봄을 지역차원에서 통합해 재구조화하는 방안'을 강조했다.

강 선임연구원은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부분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돌봄 및 방과후학교 정책은 사회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방과후 돌봄 서비스 수요를 충족하기 어렵다"면서 "관련 부처 별로 분산돼 있는 돌봄 정책을 지역차원에서 통합해야 수요자에게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현장 관계자들은 돌봄 기능의 마을협력 연계 필요성에 공감하지만, 협력과정에서의 소통비용과 업무에 대한 부담을 크게 느끼고 있다"며 "각 이해관계자별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강 선임연구원은 마을협력모델의 구성요소로 인적자원, 지역 인프라, 공동체 문화, 학교 개방성, 지자체 지원 및 협력 등을 소개했다.

이어 전성화 광명광성초 교장은 학교 관리자로서 '방과후 돌봄 운영의 문제점'으로 ▲겸용교실로 인한 학생들의 학습 지장 ▲보육전담사의 준비 시간 부족 ▲무리한 돌봄 확대로 초단시간 전담사 채용에 따른 사각지대 ▲돌봄학생에 대한 생활지도 어려움 ▲저녁돌봄의 학교 안전성 문제 등을 들었다.

전 교장은 "돌봄 운영에 따라 맞벌이나 저소득층 등의 자녀를 방과후 안전하게 돌볼 수 있고,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으로 학생의 균형적 성장을 돕고, 사교육비를 줄일 수 있다"며 "초등돌봄교실,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아이돌봄 서비스, 지역아동센터 등으로 부처별 분산된 돌봄기능을 지역차원에서 통합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지속가능한 양질의 돌봄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수원선일초 신창숙 학부모는 "학교는 가깝고 안전하다는 인식과 함께 학교프로그램의 연계성, 돌봄 프로그램의 경제성 등으로 학부모들은 초등돌봄교실을 선호한다"라며 "맞벌이 가정 학생을 돌봐주는 곳은 학교가 유일하며, 학교 공간 활용과 돌봄교실의 탄력적인 운영을 통해 초등돌봄교실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도교육청은 이날 나온 현장 의견을 경기도청, 지자체 등과 협의를 통해 경기도교육정책에 적극 반영하기로 했다.

/안상아 기자 asa88@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