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장기화된 가뭄으로 농촌지역에 비상이 걸렸다. 모내기와 파종 등 본격적인 농사철이지만 경기지역 농업용 저수지의 평균 저수율이 50% 이하로 떨어져 농수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이다.
경기도 발표에 따르면 지난 17일 기준 도내 342개 저수지의 평균 저수율은 49.5%를 기록, 평년 저수율 77.4%에 비해 27.9% 포인트 낮았다. 유효저수량 2090만t으로 도내 1위인 용인 이동저수지는 34.8%, 1520만t으로 2위인 용인 고삼저수지는 33.7%에 각각 그치고 있다. 유효저수량 도내 3위인 안성 금광저수지도 저수율 16.4%에 불과했다.

이로 인해 경기도 내 모내기 진척률은 총 7만7025ha의 논 면적 중 3만2000ha인 41%를 기록, 다소 저조한 실적이 집계되고 있다. 다음 달까지도 가뭄이 이어질 경우 벼 활착과 생육에 문제도 생길 수 있다.

밭작물의 가뭄피해 실태는 더욱 심각한 수준이다. 고추 등 모종을 심는 밭농사는 최근이 적기이나 대부분 장기화된 가뭄과 고온현상으로 심각한 피해가 우려된다. 대부분 지하수로 농사를 짓는 밭농사는 용수가 모두 고갈되면서 농수공급을 할 수 없어 모종들이 모두 고사하고 있는 상태다. 이로인해 경기도는 올해 가뭄대책사업비로 237억원을 긴급 편성한 데 이어 40억원을 이번 1차 추경예산에 추가로 반영했다고 한다. 다소 늦은감은 있지만 다행이다. 정부는 가뭄 발생 시 관정개발 등 임시방편 대책만 수립하고 있지만, 항구적인 대책을 이행할 수 있는 전담기구 및 조직이 전무한 실정이다. 이제 가뭄은 최근 엘니뇨 등 지구의 기후환경변화 등으로 매년 발생하고 있어 근본적인 대책 수립이 시급하다. 현재 정부는 가뭄대응 방안으로 도수로 확보 및 저수지 준설에만 집중하는 형편이나 그 실효성에 의문이 생길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가뭄이 닥친 후의 대응만 있을 뿐 예방 및 대비는 사실상 없는 실정이다. 이에 관점을 바꿔 예방 측면에서 사안을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즉 가뭄은 해결할 수 있는 재난이라는 확신을 갖고 접근해야 한다. 정부를 비롯, 공공기관 등이 물관리에 대해 각자의 역할을 다하고 공감대를 형성한다면 국가 물관리 정책은 해결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