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의 길 열렸지만 … 막막한 생계의 길
▲ 소래포구재래어시장 현대화 사업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21일 화재가 발생한 어시장에 임시좌판을 열었던 상인들이 파라솔을 접었다. 소래포구 상인회는 "재래어시장 정상 영업을 위해 방염천막 설치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양진수 기자 photosmith@incheonilbo.com
수도권 최대 관광명소 소래포구가 화마의 아픔을 딛고 다시 일어 설 수 있을까?

국가어항 지정을 계기로 현대화 사업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반면 화재로 생존권을 잃은 상인들은 소래포구 옛 정취의 명맥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영업의 길을 열어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관련기사 5면

21일 소래포구 재래어시장에는 강렬한 햇볕을 피할 수 있도록 가림막 공사가 한창이다.

화마로 생계를 잃은 좌판 상인들은 파라솔을 놓고 임시로 어시장을 개장했지만 전기와 해수공급이 끊겨 제대로된 영업을 하지 못했다. 쭈꾸미와 꽃게철인 5월은 가정의 달 나들이객과 겹쳐 소래포구에서 연중 최대 성수기였지만 손님맞이를 할 수 없었던 것.

화재 이후 국토부와 해수부의 발빠른 입장 정리로 소래 포구를 국가어항으로 지정하게 됐다. 인천시도 지난 4월19일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소래포구 어시장 일대 그린벨트 4611㎡ 지역을 해제하는 안을 통과시켰다.
소래포구 재래어시장 현대화의 길이 열린 것이다. 하지만 남은 과정이 순탄치 않다.

해수부가 올 하반기 국가어항 지정고시를 하고 관련 절차를 밟아야 한다. 남동구는 그린벨트 해제 이후 어시장 대체 부지에 재래 어시장을 옮긴 다음 재개발을 진행해야 현대화 사업이 마무리될 수 있다. 이 기간이 빨라야 오는 2020년 건축에 들어가 2023년에야 끝난다는 것이 관계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소래포구에는 950여개의 점포·식당이 영업하고 있지만 화재가 발생한 재래어시장의 332개 좌판상점은 모두 무허가 가건물에서 영업해 왔다. 상인들은 점포당 연간 170여만원을 한국자산관리공사에 내고 세무서에 사업자 등록 후 세금을 정상납부했지만 어시장 시설만큼은 불법 건축물이다.

화재피해 상인들이 서둘러 가림막을 설치하고 나선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한 상인은 "현대화 사업의 목적이 소래포구를 수도권 최대 관광명소로 만들려는 것인 만큼 포구 명맥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신선한 해산물을 팔 수 있는 임시 시설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남동구에서는 임시 이동식 좌판은 허용하되 기존처럼 고정식 불법 시설은 안된다는 입장이다.

구 관계자는 "왜 화재가 발생했는지, 이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 고민의 산물이 현대화 사업"이라며 "현대화 사업 틀이 마련되고 이를 통해 상인들과 협의하려 했는데 벌써부터 논란이 커지면 앞으로 어떻게 일을 진행해야 할 지 고민된다"고 말했다.

/김칭우·김신영 기자 chingw@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