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남동구, 그린벨트 해제 따른 '소래어시장 지구' 지정…관광명소 명성회복 주력
2023년 완공 목표 사업기간 임시 가설물만 허용…전기·해수 공급 안돼 상인 불만 속출
▲ 인천 소래포구재래 어시장에서 지난 3월 18일 오전 1시36분께 화재가 발생해 2시간30분 만에 진화됐다. 화재로 어시장 좌판 200여개와 상점 20곳이 타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다. 출동한 국과수와 소방관계자들이 화재현장을 조사하고 있다. /인천일보 DB
▲ 문종관 남동구의회 의원
▲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
▲ 길현수 화백의 '소래일기( 100P 162.2×112.1)'. 소래포구 재래어시장의 활기찬 모습을 담은 길현수 화백의 소래일기처럼 재래어시장이 다시 살아날 수 있을까? /그림제공=길현수 화백
소래포구 국가 어항 지정에 따라 현대화 사업이 발 빠르게 진행되고있다. 인천시와 남동구는 해양수산부의 국가 어항 지정에 따라 그린벨트를 해제했다. 이어 무등록 좌판 운영체제를 개선하고 어시장 현대화 사업을 벌일 계획이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도 소래포구 화재지역에 현대화 건축물 건립 결정이 나면 구와 협의해 상인들에게 대체 부지를 마련해줄 것을 고려중이다. 반면 소래포구 어촌계와 상인연합회 등은 화재 피해를 입은 소래포구 어시장을 떠날 수 없다며 영업재개를 위한 대책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현대화 사업에는 한 목소리를 내면서도 완성시기까지의 영업을 놓고 갈등이 전면화된 것이다.

▲현대화에는 한 목소리
인천시는 4월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어시장 일대 4611㎡ 터를 그린벨트에서 해제하는 '도시관리계획 결정 변경안'을 가결했다.

시는 주변 5053㎡를 '소래어시장 지구'로 지정하는 동시에 일반상업지역으로 변경했다. 방화지구로도 지정됨에 따라 어시장 터에 건물을 지을 때 화재에 대비한 건축자재를 사용해야 한다.

그린벨트 해제가 확정됨에 따라 남동구는 지구단위계획 수립 같은 절차를 거친 뒤 어시장 좌판 상인들과 현대화사업을 논의하기로 했다. 이후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환경영향평가를 비롯한 행정절차와 기본 및 실시 설계 과정을 거쳐야 한다.

소래포구는 어선 100여척이 인천 앞바다에서 잡아 온 수산물을 판매하는 수도권의 대표적 어시장이지만 접안 시설과 어항 용지가 비좁다. 주차장 같은 필수 편의시설도 부족해 관광객 불편이 크다.

앞서 남동구는 그린벨트에 묶여 건축물 신·증축이 불가능한 어시장 가운데 3500㎡에 2층 규모의 건물을 지어 수산물을 파는 상점과 식당 등을 입주시키는 현대화사업을 추진했다 상인들의 반발로 무산된 바 았다.

남동구 관계자는 "그린벨트 해제 결정으로 현대화사업의 발판이 마련됐다"며 "사업이 마무리되면 어시장을 둘러싼 불법 시비가 사라져 수도권 관광명소로서의 명성을 되찾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영업은?
현대화 사업은 개발제한구역이었던 어시장 4611㎡ 일대 가운데 3500㎡에 2층 규모의 건물을 신축해 어시장, 젓갈·건어물시장, 식당 등을 입주시키고 낡은 시설을 현대화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남동구는 지구단위계획 수립 등 절차를 거치면 2020년쯤 착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사업이 원만하게 진행되도록 사업부지에서 좌판상점을 운영하는 상인들과 향후 계획을 협의할 방침이다.
문제는 시기다.

남동구는 2020년 착공, 2023년 완공을 염두해 두고 있는데, 현대화 사업이 완료될 때까지 기존 불법 좌판상점은 허용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다만 이동식 임시좌판만을 허용하겠다는 것이다.
상인들은 지난달 21일 파라솔 210개와 수조를 설치하고 영업을 재개했지만 고객과 상인 모두에게 불편만 줄 뿐 제대로된 상품을 팔지 못한다고 호소한다.
현대화 사업 마무리될 때까지 햇볕과 비를 가릴 수 있는 임시 가설물과 전기 및 해수공급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소래포구 정취를 이어 나가고 관광객들의 발길을 잡을 놓을 수 있어야 현대화 사업이 마무리될 때 진정한 관광명소로 자리를 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소래포구 한 상인은 "신선한 해산물을 팔지 않는 포구에 관광객이 찾을 수 있겠느냐, 포구의 명맥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임시 영업 시설이 필요하다"며 "현대화 사업 마무리될 때까지 얼마나 많은 관광객을 유지할 수 있느냐가 이 사업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해법은?
문종관(논현1·2·고잔동) 인천 남동구의원은 당장 생계 터전을 잃은 상인들에게 살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 의원은 "재래어시장 자리를 시멘트로 매워버리는 바람에 해수 공급이 되지 않아 전염병 등의 위생 문제가 우려된다"며 "남동구가 상인들이 직면한 어려움을 이해하고 함께 장기적인 계획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구와 상인들 간의 소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문 의원은 "지난 구의회 임시회에서 구정질문을 통해 구청장께 상인들과 소통의 장을 만들자고 제안했는데 추진된 것이 없다"며 "국가어항에 걸맞게 소래포구를 새롭게 정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삶의 터전을 잃은 상인들의 문제 해결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문 의원은 최근 상인들이 어시장 바닥에 배수가 가능한 철망을 설치하려고 했으나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구의 승인이 필요해 중단됐다고 전했다.

그는 "철망 설치 여부를 두고 구와 캠코가 서로 책임을 미루는 분위기였다"며 "상인들은 이도 저도 못하는 처지에 놓여있다"고 했다.

또 문 의원은 구가 소래포구를 국가어항으로서 어떻게 발전시킬지 고민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그는 "소래포구 뿐 아니라 시흥 월곶항도 국가어항으로 지정된 것으로 알고 있다. 월곶 인근은 배곶신도시가 있어 상권을 활발하게 형성하고 있다"며 "구 또한 소래포구 현대화사업 등의 발전 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워야 한다"고 했다.

김송원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은 소래포구 재래어시장 문제를 두고 중장기 계획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사무처장은 "남동구는 불법 문제 해결만을 강조하지만, 화재로 좌판을 잃은 상인들의 생계 대책이 우선"이라며 "상인들의 생계 방안과 소래포구 활성화 라는 장기 계획이 함께 어우러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 사무처장은 재래어시장 영업이 중단이 길어질수록 관광지로서의 소래포구 기능 또한 상실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소래포구가 관광지로서의 브랜드를 만들어 나가는데 수십년이 걸렸다"며 "국가어항과 현대화 사업 전까지의 임시 대책 마련이 늦어지면, 소래포구 명성도 한 순간에 날라갈 지 모른다"고 우려했다. 이어 "구는 상인들과의 협의를 통해 긴급대책과 장기적인 소래포구 발전 계획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소래포구 재래어시장 상인들은 하루 빨리 대책을 수립해 소래포구의 명성을 이어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용희 소래포구발전협의회 부회장은 "지난 1997년 1월 재래어시장을 정식 개장하고 상인들이 관행적으로 인정을 받은 후 영업을 해왔다"며 "소래포구가 학생들 교과서에도 수록 될 정도로 명소로 자리 잡았는데 이런식으로 갑자기 영업을 중단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구는 국가어항과 현대화사업이 추진되기 전까지의 임시 방편을 마련해달라"고 덧붙였다.

일부 상인들은 임시 영업 방안과 함께 구체적인 현대화 사업 계획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상인 A(56·남)씨는 "최근 구가 재래어시장 자리에 공원을 조성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며 "수십년간 갈고 닦아 온 자리에 공원을 만들어버린다니 납득할 수 없다"고 토로했다. 이어 "다른 곳에 건물을 세워 상인들을 이동시킨다는데 그 땅은 개인 사유지라 소유주들이 쉽게 허락하지 않는 것으로 안다"며 "구가 현대화사업을 추진한다고 하나 구체적인 계획은 없는 것 같아 불안하다"고 말했다.

/김칭우·김신영 기자 chingw@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