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폭운전과 무정차, 기사의 불친절 등 이른바 버스의 고질적인 민원이 폭주하고 있다고 한다. 버스이용 불편 민원은 매년 매월 되풀이 되는 현상이다. 문제는, 여전히 개선될 여지가 없어 보인다는 것이다.
수원시의 사례를 보자. 지난해에 접수된 버스이용불편 민원 가운데 5308건을 처리했다고 밝혔다. 그런데도 여전히 매월 400여건이 넘는 버스 민원이 쇄도한다. 비단 수원시 만이 아니다. 도내 대부분 지자체들의 형편이 비슷하다. 버스회사에는 매년 수천억원의 보조금이 세금에서 지급된다. 경영악화를 이유로 하는 지원금이다. 2015년 2108억 원이 들어갔고, 2016년에는 1992억 원으로 약간 줄었다가 올해 다시 2134억원으로 늘어났다. 그런데, 지원금이 줄어들건 늘어나건 정작 서비스의 질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 급기야 민원들이 이런 사실을 알아버렸다.

보조금이 들어가도 상관이 없고, 민원을 넣어 봐도 소용이 없다는 걸 깨달은 시민들의 시선이 이 보조금을 향하기 시작했다. 수차례 민원도 넣어 보고, 화도 내 보고 하면서 터득한 경험에서 비롯한 것이다. 보조금의 지급 중단을 요구하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점점 커져 가고 있다. 좀 더 강력한 행정 통제를 통해서라도 제발 대중교통의 서비스 질을 높여 달라는 요구인 것이다.

하지만 공무원들의 반응은 여전히 느긋해 보인다. "마땅히 제재할 수단이 없다"고 하소연이다. 버스 운전기사의 교육과 캠페인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는 게 공무원들의 한결 같은 답변이다. 한 마디로 방법이 없는 게 아니라 의지가 없다는 것을 고백하는 것처럼 들린다. 의지가 있다면 왜 방법이 없겠는가. 좀 더 강력한 행정지도 방식은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 시민들의 요구처럼 보조금 지급을 조건으로 하는 협상도 가능하지 않겠는가.

행정 만능주의에 기대려는 게 아니다. 행정통제 이전에 서비스를 개선하려는 버스회사의 노력이 우선해야 한다는 점을 우리도 안다. 하지만 버스회사의 자정노력으로는 불가능한 상황이라는 것이 이미 입증된 상태에서 한가한 답변만 늘어놓는 담당 공무원들의 태도는 뭐냐는 것이다. 해결 방법이 뭔가? 시민이 공무원들에게 묻고 있지 않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