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립지 폐자원에너지타운에 폐기물 전처리시설 설치 검토
부지소유권과 소각장 설치 놓고 협상 … 매립영구화 재점화
대체 쓰레기 매립지 확보에 소극적인 서울시·경기도에 등 떠밀려 수도권매립지 사용 기한을 연장해준 인천시가 '수도권 소각장'마저 받으려고 한다. 대체매립지를 조성하지 않으려는 서울시 의도가 드러난 상황에서 '매립 영구화' 논란이 재점화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3면

인천시는 서구 수도권매립지 폐자원에너지타운에 생활·건설 폐기물 전처리 시설(자원화 시설)을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17일 밝혔다.

폐기물 전처리 시설이 들어서면 인천뿐 아니라 서울·경기가 공동으로 사용한다. 매립에만 기대지 않고, 생활 쓰레기는 소각한 뒤 남은 재를 수도권매립지에 묻는 방식이다. 건설 폐기물은 선별 작업을 거쳐 토사는 판매하고, 타지 않는 폐기물을 매립한다. 결국 인천에 수도권 폐기물을 모아 소각하거나 재활용한다는 구상이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SL공사)가 고시한 '폐기물 전처리시설 설치사업 기본계획'을 보면 생활 폐기물 처리 규모는 하루 600t, 건설 폐기물은 4000t이다. 내년 착공되면 2020년 말부터 가동될 전망이다.

서울·경기에는 이미 34개 자원회수시설(소각장)이 있다. 하지만 이들 지역은 시설을 정비하거나 교체하는 기간에 쓸 수 있는 소각장이 필요하다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시(4개)나 경기도(30개)가 자체 시설을 순환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도 인천에 공동 소각장을 만들자고 고집하는 셈이다.

지난해 시는 전처리 시설 설치가 수도권매립지 영구화로 이어진다는 비판에 직면하자 '수용 불가' 입장을 내비쳤다. 최근 들어 분위기는 달라졌다. 외자 유치로 추진되는 복합 쇼핑몰·테마파크 사업 때문이다. 시는 환경부로부터 이들 부지 소유권을 받는 대신 공동 소각장을 설치하는 협상을 동시에 벌이고 있다.

전처리 시설이 생기면 수도권매립지에 묻는 폐기물 양이 줄어든다. 친환경 방식으로 전환된다는 점에선 긍정적이지만, 매립 연장이 걸림돌로 남는다. 시는 2015년 6월 서울·경기와 매립 연장에 합의했다.

사용 기한은 따로 정하지 않고 대체매립지를 찾는 조건으로 제3매립장 1공구(103만㎡만)를 쓰기로 했다. 시는 3-1공구가 7~10년 동안 매립할 수 있는 규모로 보고 있지만 매립량이 줄어들면 사용 기한은 더욱 늘어난다.

서울시는 최근 내부 문서를 통해 잔여부지(106만㎡)까지 추가 사용할 뜻을 드러냈다. 공동 소각장을 수도권매립지 영구화의 발판으로 삼으려 한다는 의구심이 드는 대목이다. <인천일보 5월16일자 1·3면>

시 관계자는 "주민들도 전처리 시설을 설치하는 대신 테마파크 등을 통해 지역 개발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


관련기사
인천, 영구매립 '외통수' 막을 묘수 없나 "(수도권)매립지 정책이야말로 대표적인 성공 사례임을 당당하게 밝혀주기 바란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지난 4월25일 간부회의에서 "매립지 사용 종료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대체매립지를 조성하도록 합의했다"며 이렇게 밝혔다. 2015년 6월 수도권 3개 시도와 환경부가 서명한 '4자협의체 합의'를 두고 한 말이다. 인천시는 지난해 10월 '환경주권' 정책을 발표하며 수도권매립지 정책을 1순위로 꼽았다. 4자 합의를 차질없이 이행한다는 게 골자다. 하지만 대체매립지 조성 의지가 없는 서울시·경기도는 '수도권 소각장' 설치마저 밀어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