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 좌판·가건물 먹잇감 … 火魔, 아직 어슬렁댄다
▲ 인천 남동구 소래포구 재래어시장에서 누전으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한 지 두 달이 지났다. 화마가 할퀴고 간 재래어시장 상인들은 전기와 해수공급이 안되는 상태로 임시좌판을 열어 손님을 맞고 있다. 임시좌판에서 영업하는 상인들은 "현대화 사업에는 동의하지만, 개발 전까지 상인들이 살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진은 파라솔을 펼치고 임시 좌판에서 영업하는 소래포구 재래어시장 전경. /양진수 기자 photosmith@incheonilbo.com
인천 남동구 소래포구 재래어시장에서 누전으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한 지 두 달이 지났다. 3월18일 새벽 갑작스레 일어난 화재로 어시장 좌판과 일부 건물 부속시설 등 270여곳이 잿더미로 변했다.

이후 소래포구는 국가어항으로 지정되고 재래어시장 부지의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가 이뤄졌지만 상인들의 정상 영업은 아직 요원한 상태다.

화마가 할퀴고 간 재래어시장에는 그간 어떤 일들이 있었을까? 경찰은 당시 화재 원인이 노후 전열기로 인한 누전이라고 밝혔다. 앞서 2010년과 2013년에도 변압기 용량 부족 등으로 화재가 발생한 것을 감안하면 7년 새 3차례나 불이 난 것이다.

화재 현장 맞은편 좌판 상점들은 화마를 피했지만 가건물 형태로 여전히 화재에 취약하다. 남동구가 나머지 좌판 229곳에 대한 전기 정밀 안전진단을 실시한 결과 51곳이 중대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화재로 삶의 터전을 잃은 상인들은 지난달 24일 자생결의대회를 열고 영업을 재개했다. 1년 중 가장 큰 수익을 내는 4~5월 꽃게 대목을 놓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19면

상인들은 자체적으로 파라솔을 구매해 기존 좌판 자리에 설치하고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전기와 해수가 없는 상태에서 정상 영업은 쉽지 않았다. 또 화재 사실이 알려지면서 손님들의 발길도 예전보다 급감했다. 40년째 장사를 해온 상인 이모(70)씨는 "매출이 4분의 1로 줄었다"며 "전기도 안들어오니 해가 지면 장사를 접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상인들은 인천시와 남동구가 현대화 사업 등 근본적인 대책과 함께 정상 영업을 할 수 있는 방안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소래포구를 국가어항으로 지정하면서 650억원을 들여 길이 1120m의 접안 시설을 설치하는 등 어항 기능을 보강하는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내년 예비타당성 조사와 환경영향평가 등이 마무리되면 2021년 포구 정비 공사를 본격 시작한다는 방침이다.

구는 국가어항 지정과 어시장 인근 그린벨트가 해제된 만큼 재래어시장 현대화사업을 계획 중이다. 아직 세부 계획은 확정되지 않았으나 2층 건물을 세워 상인들을 입주시킨다는 것이 주 내용이다.

구 관계자는 "소래포구 어시장 현대화사업은 소래포구가 국가 어항으로 지정되면서 종합적으로 추진되는 사업"이라며 "화재 전 상황으로 되돌리는 것이 아니라 소래포구 원 모습을 살리면서 법 테두리 안에서 차근차근 진행해야 하는 사업인 만큼 난관이 많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소래포구발전협의회 관계자는 "현대화 사업에는 동의하지만, 개발 전까지 상인들이 살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 것도 시급하다"며 "구와 소래포구, 상인들이 모두 상생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칭우·김신영 기자 chingw@incheonilbo.com


관련기사
[외면받는 소래포구] 전기 끊겨 해지면 철수 … 꽃게 대목에도 '썰렁' 화재 피해를 입은 소래포구 재래어시장 상인들이 임시로 파라솔을 치고 영업을 재개한 지 20여일이 지났다. 상인들은 자생결의대회를 열고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영업을 시작했지만, 전기와 해수가 없어 정상 영업은 불가능한 상태다. 17일 오전 재래어시장은 꽃게철로 북적이던 예전의 5월이 아니었다. 상인들의 터전에는 좌판 대신 파라솔이 세워졌고 시멘트로 매워진 바닥은 배수시설이 없어 여기저기서 흘러나온 물로 흥건했다. 일부 상인들은 인근 횟집에서 해수를 빌려 횟감과 꽃게 등을 팔고 있었지만 곳곳에 문을 닫은 상점들이 눈에 띄었다.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