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는 이제 우리의 일상생활을 위협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과거 봄이면 되풀이되던 황사에 대한 우려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다. 아이들을 키우는 집에서는 다급하게 고기능, 고가의 공기청정기를 구입하느라 허리가 휠 지경이다.

특히 인천은 이번 미세먼지 파동이 아니라도 대기질이 좋지 않은 도시로 지목돼 왔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이렇다 할 아무런 대책이 없다. 앞으로 시민들 삶의 질이 심각하게 우려된다.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하자마자 미세먼지 대책의 시행에 나섰다.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노후 화력발전소들에 대해 6월 한 달간 일시 가동 중단(셧다운)시킨다는 것이다. 내년부터는 전력수요가 적은 3∼6월에도 가동이 중단된다. 전체 석탄발전소 중 노후 석탄발전소의 발전 비중은 10.6% 수준이나, 오염물질 배출량 비중은 19.4%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은 이번 조치의 혜택에서 제외되게 됐다. 가동 중단 대상에서 영흥화력발전소가 빠졌기 때문이다. 완공된 지 10년이 갓 넘은 신생 화력발전소라는 이유에서다. 영흥화전은 그간 인천 지역 대기오염의 주범으로 꼽혀왔다. 2014년에 준공된 5·6호기까지 모두 6기의 대규모 석탄발전소가 엄청난 양의 매연을 뿜어내 인천 대기 오염원의 구실을 하고 있다. 연간 수천t 이상의 미세먼지 유발 물질을 내뿜어도 영흥석탄화력발전소는 정부의 폐쇄 칼날을 비켜간 것이다.

지난해 영흥 1호기의 오염물질 배출량은 2445t, 영흥 2호기는 2690t으로 나타났다. 3·4호기 배출량도 1400t을 웃돌았으며 5·6기의 연간 평균 배출량은 1000t으로 집계됐다. 그렇다고 영흥화력이 대기 오염물질 발생 주범인 석탄이 아닌 LNG 등 상대적 청정연료로 바뀔 가능성도 희박해 보인다. 다행히 2015년 마련된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는 영흥화력 7·8호기 증설이 빠졌지만 석탄 원료에만 의존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검토조차 되지 않았다.

인천시민이 감내해야 하는 미세먼지 재앙에 대해 중앙정부의 조치만 쳐다보고 있을 수만은 없게 됐다. 단계적으로 석탄 의존도를 낮춰 줄 것을 요구하는 한편, 인천만의 자구책도 강구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