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LNG' 가능성 희박새 정부
셧다운제 방침에 아직 젊다는 이유로 '휴~'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에서 인천 영흥화력발전소(영흥화력)가 빠졌다. 영흥화력이 오염물질 발생 주범인 '석탄'이 아닌 LNG 등 상대적 청정연료로 바뀔 가능성도 희박해 보인다.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하는 인천시는 정부에 책임을 떠넘기며 뒷짐만 지고 있다. ▶관련기사 3면
지난 15일 문재인 대통령은 미세먼지 저감 대책으로 노후 화력발전소 셧다운(일시 가동 중단) 방침을 밝혔다. 6월 한 달간 30년 이상 된 발전소의 가동을 일시 중단하고 삼천포 화력발전소 1·2호기 등 노후 발전소 10곳은 임기 내 폐쇄한다.

정부의 노후화된 석탄화력발전소의 폐쇄 및 가동 중단에 영흥화력은 '젊다'는 이유로 빠졌다. 연간 1000t 이상의 미세먼지 유발 물질을 내뿜어도 영흥화력은 정부의 폐쇄 칼날을 비켜갔다.16일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의원이 공개한 '전국 59기 석탄화력발전소의 미세먼지 유발 물질 배출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영흥 1호기의 오염물질 배출량은 2445t, 영흥 2호기는 2690t으로 각각 나타났다. 2008년 준공된 영흥 3·4호기의 배출량도 1400t을 웃돌았으며 5·6기의 평균 배출량은 1000t으로 집계됐다.

영흥화력에서 배출하는 대기오염 물질은 인천을 넘어 인근 지역까지 영향을 미친다.

지난해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영흥화력의 대기오염 물질이 50~70㎞ 떨어진 지역까지 퍼진다는 내용의 '대기오염 물질 배출사업장의 대기질 영향 분석' 을 내놨다. 인천과 서울 남·서부, 일부 경기 지역이 해당된다. 정부와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당위성에 힘이 실리는 대목이다.

하지만 정부는 영흥화력이 타 석탄화력발전소에 비해 모범적인 배출기준을 가지고 있다며 대책 마련을 서두르지 않고 있다. 영흥화력은 준공 10년이 갓 넘은 신생 발전소로 5·6기는 2014년에 만들어졌다. 다행히 지난 2015년 발표된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는 영흥화력 7·8호기 증설이 빠졌지만 석탄 사용 문제는 담기지 않았다.

시는 정부 탓만 하고 있다.

이날 열린 인천시의회 241회 임시회에서 시 관계자는 "(정부 대책이) 인천시에 직접적으로 해당되는 부분은 없다"면서도 "영흥화력은 국가에서 석탄화력 발전 기준으로 제시한 모델이라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곽안나 기자 lucete237@incheonilbo.com


관련기사
인천시 "과거 기준 이산화탄소 할당량 대책을" 1985년 세계기상기구와 국제연합환경계획은 이산화탄소를 온난화의 주범으로 꼽았다. 국제사회는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를 대책으로 내놨다. 정부에서 업체에게 배출할 수 있는 온실가스 허용량을 정해주고 배출량이 부족하거나 남는 부분은 주식시장처럼 배출권을 사고 팔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지난 2015년 1월12일부터 거래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인천은 1차 계획기간(2015년~2017년) 내 총 124만822t의 배출권을 할당받았다. 올해 할당량은 42만2642t이다. ▲배출량, 폐기물 소각·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