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도 농협구례교육원교수
4차 산업혁명의 기원은 2011년 독일의 하노버 산업박람회에서 제시된 인더스트리 4.0이다. 독일 연방정부는 인더스트리 4.0을 통해 미래성장동력을 확보하고자 했으며, 세계 경제포럼의 창시자 클라우스 슈밥 회장은 그의 책'제4차 산업혁명'에서 인더스트리 4.0에 생명과학기술 및 나노테크놀로지의 기하급수적 발전이 더해져 사회의 질적 변화가 도래할 것으로 보았다.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간단히 구상해보면 사물인터넷을 통해 수집된 빅 데이터를 인공지능이 분석·처리하는 '스마트 세상'이다. 즉 정보화 혁명의 확장을 뛰어넘는 아날로그의 완전한 디지털화, 인공지능화를 의미한다. 어디에서든지 모바일, 인터넷과 연결하여 기기를 조작하고 '정보'를 만들어낼 수 있다. 개인비서 로봇이 출근 시간에 맞춰 자율 주행 택시를 예약해주고 차량을 타자마자 목적지까지 예상 소요시간과 오후 일기예보를 알려주는 일상은 가까운 미래에 우리가 마주하게 될 현실이 될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이란 인공지능(AI), 로봇기술, 생명과학이 주도하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말한다. 그러나 사물인터넷, 빅 데이터, 인공지능 등으로 설명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을 우리나라는 어떻게 준비하고 있을까? 자칫 잘못하다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다. 이미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많은 사회적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으나 이에 대비하는 노력은 부족하다. 기술의 효율성만을 강조한다면 인공지능과 로봇이 사람을 대신해 사람 없는 사회가 될 수도 있다. 과연 사람 없는 사회를 상상이나 할 수 있을까? 지금보다 더 심각한 사회적 양극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우리는 아직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준비가 덜 되어 있으며, 가장 큰 문제점은 바로 실업자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제조업 강국인 독일은 4차 산업혁명에 잘 대비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다. 지멘스, BMW, SAP 등 독일의 글로벌 기업들은 2013년 3월부터 인더스트리 4.0의 플랫폼을 설립해 미래에 대비하고 있다. 지금 독일 기업들은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 로봇 기술을 융합해 생산 공정을 고도화한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를 운영해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 그리고 독일 정부는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이민자와 여성 등에게 취업 기회를 개방하여 생산가능인구를 늘리고 있다. 따라서 우리도 독일처럼, 4차 산업혁명 '양날의 검'에 대한 철저한 대비를 해야 한다. 위기를 기회로 삼아 현재의 노동자들을 변화의 길로 이끌어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은 이미 시작됐다. 이제 막연한 두려움을 떨쳐버리고 실업·양극화 등 지능 정보사회가 가져올 수 있는 부정적 결과에 대응해야 한다. 사회적 준비와 기존 기술들에 대한 개념을 다시 정립하고 기술을 활용할 인재를 확보하는 것이 경쟁력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