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정부 당시 유엔의 북한 인권결의안 표결을 앞두고 북한당국에 물어보고 기권표를 던진 것 아니냐는 논란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논란의 핵심은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당시 의사결정의 핵심 위치에 있으면서 주권국가로서 자주적, 독립적으로 외교 결정을 내렸는가이다. 또한 북한 주민의 절박한 인권 문제에 대해 남의 일처럼 기권표를 던진 점, 논란이 빚어질 때마다 문 후보가 말 바꾸기를 거듭한 점 등이 초점이다. 그러나 문재인 후보는 명쾌한 해명 대신 전 국민이 지켜보는 TV토론회에서 조차도 '색깔론', '안보팔이' 등으로 대응하고 있다. 문재인 후보는 현재 차기 대통령으로 선출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후보다. 그래서 국민들은 문 후보에 대해 분명하게 묻고 싶은 것이다. 대통령이 돼서도 중대 국가 사안을 북한 당국에 물어 볼 것인가. 앞으로도 북한 주민들의 인권 문제에는 '모르쇠'로 일관할 것인가. 왜 그때마다 말이 바뀌는 것인가.

우선 의사결정의 핵심 위치에 있었던 문 후보가 북한 주민의 인권 문제보다는 북한 정권의 눈치를 본 것 아니냐는 의혹이다. 이른바 '북한 결재'론이다. 그렇다면 앞으로 국방장관이나 참모총장 인선까지 북한의 결재를 받는 게 아닌가 하는 것이 국민들의 우려다. 사드 배치에 대해서도 그러할 것인가고 묻고 싶다. 유엔 북한인권결의안은 북한 정권에 주민 인권을 개선하라고 촉구하는 내용이다. 북한 정권의 인권 유린은 인류가 공분하고 있는 범죄다. 세계 어느 나라보다 대한민국이 앞장 서야 할 결의안이다.

말 바꾸기는 후보의 정직성과 직결된다. 문 후보는 지난해 10월 송민순 전 외교부장관의 회고록이 나온 직후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지난 19일 KBS 토론회에서 "북한에 물어본 게 아니라 국정원 정보망을 통해 북한의 반응을 판단해 보려했다"고 밝혔다. 급기야 송 전 장관이 당시 북한이 우리 정부에 보낸 문건을 공개하자 "북한에 통보해 주는 차원이지 북한에 그 방침에 대해서 물어본 바가 없다"고 말했다. 정직성은 리더십의 가장 기본적인 도덕률이다. '북풍몰이'라고만 하면 엄중한 사안을 호도하는 것이다. 최순실 비선 세력들이 "또 촛불몰이냐"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문 후보는 지금이라도 국민들의 물음에 답해야 한다. 그것도 정직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