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硏, 중학교 1학년 대상 연구결과 소득 높을수록 공부시간 길어
소득수준이 높은 부모 밑에서 자란 자녀일수록 공부시간이 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경기도교육연구원은 최근 발간한 '통계로 보는 오늘의 교육' 제1호에서 '학습시간은 공평하게 활용되고 있는가'를 주제로 한 이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경기도교육연구원은 2012년 당시 도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학습시간을 가계소득 수준별로 분석한 결과, 소득이 늘수록 학습시간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월 가계소득이 600만원 이상인 학생의 경우 200만원 미만인 학생보다 총 학습시간이 117분 더 많았다. 또한 사교육 시간은 54분이 더 많았다.

이 같은 연구는 2015년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동일하게 진행했다. 가계소득이 600만원 이상인 학생은 200만원 미만인 학생보다 학습시간이 74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가계소득과 학습시간 간 상관관계가 변하지 않았다.

총 학습시간은 2012년 학원참여시간과 학원 혹은 학교숙제 기간, 숙제 이외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의 합을 조사했고, 2015년에는 학원 혹은 학교 숙제시간, 숙제 이외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의 합을 중점으로 연구했다.

이번 연구에서 시간 계산은 2012년의 경우 학생들이 주관식으로 응답한 시간을, 2015년의 경우학생들이 응답한 범주 값의 중간 값을 환산(전혀 안 함=0, 30분 미만=15, 1시간∼1시간30분=75 등)해 산출했다.

이와 관련 가정배경에 따른 학습시간 격차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우리나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교육연구원이 분석한 OECD 자료를 통해 우리나라가 사회경제적 배경이 상위 25%인 학교 학생들과 하위 25%인 학교 학생들의 학교 수업 외 숙제, 사교육, 개인적 학습 등의 주당 학습시간 격차는 10시간 정도로 분석됐다.

이에 비해 미국 -1.1시간, 영국 -1.0시간, 덴마크 -1.0시간, 싱가포르 0.7시간, 중국 0.8시간, 이탈리아 3.4시간, 일본 5.4시간 등 OECD 평균 -1.3시간으로 나타나는 등 OECD 국가들 대부분은 사회경제적 배경이 하위 25%인 학생들의 학습시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교육연구원관계자는 "가정배경으로 인한 학습시간의 차이를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는 사회에 만연한 사교육에서의 격차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며 "경제적으로 열악한 학생들이 사교육을 받지 않고도 의미 있는 학습을 할 방안을 적극적으로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안상아 기자 asa88@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