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해양주권과 항공주권을 찾자는 목소리가 높다. 항만·항공 관련업계는 물론 300만 인천시민들에 이르기까지 이 같은 정서가 확산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을 부르짖는 이 시기에 해양과 항공의 주권을 논하는 것 자체가 우습다는 지적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인천의 입장에서 보면 이 문제만큼 절실한 것은 없다. 인천은 태생적으로 바다와 관련해서 도시가 형성됐고 지역경제가 시작된 곳이다.

1990년대 중반 인천국제공항 건설이 시작되면서 항공 관련사업들도 시작됐다. 그러나 문제는 이같은 다양한 산업과 연관된 모든 정책과 운영의 권한이 정작 인천에는 없다는 것이다. 중앙정부의 각종 규제와 지역간 균형발전을 목표로 한 수도권정비법 등으로 인해 인천은 철저하게 주도적인 위치에서 배제됐다. 이러다보니 대한민국의 관문이라는 지정학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인천은 여전히 전근대적인 항구도시로 전락한채 비전을 찾을 수 없는 암울한 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중국과 일본은 차치하고라도 전세계의 무역항들이 항로확대와 배후단지 조성으로 경쟁력을 막대하게 높여나가고 있다. 반면 인천항은 정부의 부산·광양항 중심의 투-포트 정책으로 인해 손발이 묶인 채 신음하고 있다. 인천공항 또한 마찬가지다. 하루 평균 900회의 항공기가 이·착륙하고 있으며 연평균 5700만 여명의 승객들이 찾고 있지만 제대로 된 항공산업정비단지 하나 없어 안전성에 문제가 제기되고있다. 공항으로의 접근성 또한 열악하다. 항만과 공항산업에서의 인천 배제가 너무도 심각한 수준이다.

이러다보니 인천의 특성과 연관된 항만과 공항 관련산업들은 시작단계부터 사실상 성장과 확산이 불가능했다. 이제는 인천의 항만·항공산업의 자율성을 높여야 할 때가 됐다. 규제를 현실에 맡게 풀고, 지방정부에 주도적인 정책추진이 가능한 범위의 권한이 주어지면 대한민국은 수도 인근에 세계최고의 경쟁력을 지닌 국제복합물류도시를 확보하게되는 것이다. 이는 인천의 지정학적 현실을 감안하면 누구나 충분히 예측할 수 있는 상황이다. 인천의 목소리를 단지 하나의 지역이기주의로 매도해서는 안 된다. 다음세대의 먹거리를 책임질 4차산업혁명 차원에서 접근하게 될 국제물류산업의 국가경쟁력을 위한 정책적 지적임을 알아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