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급한 해양·항공주권 회복]
인천국제공항 개항 16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반쪽 공항'이란 지적을 면치 못하고 있다.

17일 한국공항공사 항공통계를 보면 인천국제공항은 지난해 5700만 명의 여객을 처리했다. 화물을 포함하면 연간 33만여 회 비행기가 뜨고 내렸다.

인천공항은 여객처리 기준 전 세계 30위권 공항으로 올랐으나, 항공정비(MRO) 기반이 없어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고 있다. 인천공항 국제선 항공기의 항공정비로 인한 결항률은 2011년 6.7%에서 5년 새 26.1%로 증가했다.

현재 인천공항 내 정비고는 엔진, 랜딩기어, 자동항행 전자장비 등 정비 기반이 부족해 50% 이상 외국에 위탁하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국부 유출은 연간 1조35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국토부는 추산하고 있다.

그러나 국토교통부는 항공정비 정책에서 인천공항을 계속 소외시켜 왔다. 2009년 12월 제 1차 항공정책기본계획은 지방공항 활성화를 명분으로 청주공항을 MRO 시범단지로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사업성이 없어 무산되자 2015년 1월 항공정비산업 육성방안에선 참여 자격에 '한국공항공사'라고 적시해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아예 배제해버렸다.

해결할 일이 산더미이지만 공항과 지역의 상생협력만으론 풀어나가는 데 한계가 많다.

제2공항철도, 제3연륙교, 인천신항 인입선 등 접근교통망에 대해 인천공항공사는 나몰라라 하는 실정이고, 공항 성장세에 맞춰 4단계 조기 착공이 시급하지만 정부 지원은 한 푼도 없다.

신규철 인천평화복지연대 정책위원장은 "항공산업은 공항의 물류단지, 항공정비, 미래자동차, 연구 등이 복합적으로 연결된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갈 미래 성장동력"이라며 "정부 주도보다 지방정부와 인천공항공사가 지역 실정에 맞게 유기적으로 협력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황은우 기자 hew@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