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숙한 도시의 외형, 또 다른 성장의 기회
인천의 키워드는 '혁신'이다.

근·현대사의 파고를 뚫고 300만 시대를 맞았다. 성숙한 도시의 외형을 갖췄다. 지금도 인천 곳곳에서는 '변화'의 울림이 빠르게 퍼지고 있다.

300만 인천은 네 번째 변혁기를 맞고 있다. <관련기사 3면>

1883년 개항을 맞았고, 1905년 인천 인구는 2만6330명에서 100년의 세월만큼 인구가 100배로 늘어 263만 명이 됐다. 2016년 10월 19일 인천은 300만13명이 거주하는 국내 3대 도시로 발표됐다. 도시 면적은 1940년대 165.82㎢에서 1990년 317.19㎢로 배가 불었고 1995년 광역시로 승격하며 954.2㎢로 다시 3배 확장됐다. 인천 크기는 지난해 말 현재 1062.4㎢로 광역시 중 가장 크다.

1930년대 일본은 인천을 강제 식민지 공업화시켰다. 대규모 공업지역이 곳곳에 생겨났고, 인천은 일제 수탈사의 한 페이지를 쓰며 철도 등 수송로가 도심을 가로질렀다. 그렇게 인천은 해방을 맞았고 다시 정부의 관치시대를 맞았다. 정부 역시 인천의 공업화에 주목하며 각종 산업단지를 뿌리내렸다. 도시화·산업화를 앞세운 '개발도시 인천'의 모습은 근래 환경오염이 더해져 인천 이미지를 '회색도시'로 만들었다.
관(官)이 아닌 인천주권시대가 도래했다.

소득 수준이 오르고 도시 인프라가 구축되면서 "내적 성숙 도시를 만들자"란 구호가 터져 나왔다. 4차 산업혁명이 시작된 지금 전국은 서울과 지역의 관계를 '지원은 하되 간섭하지 않는' 상태로 인식되고 있다. 고령화 저성장의 수렁에서 벗어날 방안을 지역주도형 사회로 인식하고 있다.

인천은 특히 한 세기 서울에 구속된 곳, 수도권의 한 곳이란 인식에 300만 시민을 위한 보건, 문화, 환경, 교육 등 어느 것도 마땅치 않다. 여전히 탈인천을 통해 서울로 향한다.

조동성 국립인천대 총장은 "300만 인천시민은 커다란 기회와 함게 막중한 책임을 지게 됐다"며 "시민은 경제와 문화, 교육 등을 몸에 익히고 실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