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은 인류사회가 함께 추구해온 보편가치이면서 동시에 일상적인 삶의 문제다. 지난시대, 권위주의의 체제 하에서 정치탄압으로 인한 인권탄압이 좀 더 중요한 문제였다면 지금은 일상에서의 폭언과 폭력, 차별과 차이에 따른 구체적인 삶의 문제로 그 중심을 이동 확대해 가고 있다. 그만큼 민주주의가 발전하고 시민들의 인권의식이 향상됐음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는 2011년 입법, 사법, 행정으로부터 독립한 국가인권위원회가 출범하고, 이듬해인 2012년에는 국가인권위원회가 각 지자체에 '인권기본조례' 표준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아직 인권, 특히 일상에서 비롯하는 인권문제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지자체는 많지 않다. 경기도에서는 단 두 곳, 수원시와 광명시 뿐이다. 시작은 비록 인권에 대한 리더(단체장)의 남다른 인식 때문에 가능했겠으나 몇 년을 지나고 나니 눈부신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수원시 인권위원회의 활동으로 적발되고 시정한 크고 작은 사건들을 보면 결코 예사롭지 않다. 예산이 수반되거나 제도를 고쳐 사회발전을 가져왔다거나 하는 종류는 아니더라도 사회적 약자들의 권리를 지켜주는 최후의 보루로 시스템을 작동시켜 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천하보다 귀한 가치를 지닌 인간의 존엄한 가치를 보호하는 일이 예산을 절약하거나, 제도를 개선하는 일보다 덜 중요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행정이 차별받는 시민들의 구체적인 삶에 적극 개입해 평등권을 지키려는 행위는 지극히 당연하고도 옳다.

최근 수원시의 이런 관심과 노력은 공무원과 시민들의 인권감수성을 높여가는 인권교육으로 확대되고 있다. 2013년 574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했던 시는 2014년 1590명, 2015년 1873명으로 확대한데 이어 2016년에는 일반 시민들에게도 교육의 문호를 개방했다. 지금까지 모두 156회에 걸쳐 3685명의 시민이 교육을 받았다.

교육 전과 후의 반응과 태도는 확연히 다르다. "교육을 듣기 전에는 인권에 대해 충분히 알고 있다고 생각했다. 바쁜 업무도 교육을 기피하는 핑계가 됐다. 교육을 받고 나서부터는 민원업무를 하면서 늘 시민들의 인권을 생각한다." 한 공무원이 전한 말이다. 인권 중심도시를 꿈꾸는 수원시의 앞날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