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병선 안산지역 부국장
3년 만에 수면 위로 올라온 세월호와 첫 대면한 미수습자 가족과 유가족. 출항 1081일 만에 육지로 돌아온 세월호의 처참한 몰골에 이들의 억장은 또 한번 무너져 내렸다. "정부는 미수습자 수습을 최우선으로 진행한다는 약속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유가족'으로라도 불리고 싶다는 미수습자 가족들의 절규다. 세월호가 침몰 3년 만에 해수면 위로 완전히 모습을 드러내 육상거치를 앞두고 있다. 하지만 안전사회 건설과 희생자 추모를 위해 추진된 4·16안전교육시설과 안전공원은 입지조차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두 시설 모두 유가족과 지역주민들 간 입장이 갈려 최종 입지가 결정되지 않고 있다.

안산시는 희생자 추모시설인 '4·16안전공원'(가칭) 입지 선정을 위한 주민의견을 수렴 중이다. '세월호 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희생자 추모공원, 추모기념관, 추모비 등을 갖춘 추모시설을 조성하기 위해서다. 시는 지난해 7월 유가족, 시민사회단체, 주민대표 등 24명으로 추모사업협의회를 구성하고 7차례의 주민경청회와 토론회, 10차례의 회의를 개최했다.

유족들은 화랑유원지 내 오토캠핑장 주변에 희생자 유해를 안치할 수 있는 봉안시설과 추모시설을 갖춘 4·16 안전공원 조성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화랑유원지에 인접한 재건축조합 등 적지 않은 주민들이 안전공원 자체는 반대하지 않지만, 봉안시설은 절대 안 된다며 맞서고 있다. 이로 인해 당초 3월 중 시민의견을 담은 추모사업안을 결정해 정부에 건의하려던 계획이 6월로 늦춰졌다.
안산교육지원청에 임시로 설치된 '기억교실'이 옮겨갈 시민안전교육시설(지하 1층~지상 4층 규모)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경기도교육청과 안산시는 단원고 인근으로 시설 예정지를 정해놓고 사업을 추진해오다 인근 주민들의 반대로 행정절차를 멈췄다.

시와 관련 단체들은 4월 한 달 간을 '추모의 달'로 지정해 희생자를 추모하는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제 추모행사도 중요하지만 유족들의 마음을 조금이라도 위로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우리 모두 생각해야 할 때다. 세월호 인양은 진실규명의 출발점이다. 이제 우리 모두 유가족, 미수습자 가족의 아픔을 보듬어야 한다. 타인의 일이 곧 자신의 일이 될 수 있다는 마음으로 우리 모두 지혜를 모아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