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억 원의 시민 세금을 들여 개발한 인천관광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의 성적표가 초라하다. 지난 5년간의 하루 평균 이용 건수가 한 자릿수를 넘지 못한다니 출시와 함께 사장된 셈이다. 인천을 찾는 관광객들이 없어서가 아니었다. 이미 한국관광공사에서 콘텐츠가 더 풍부하고 기능도 나은 앱을 앞서 내놓고 관광객들의 호응을 얻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불필요한 중복 투자로 세금만 날린 것이다.

이는 최근 감사원이 인천시의 관광시책 추진 실태에 대해 벌인 감사 결과 드러났다. '인천여행'은 2억400만원을 들여 개발해 2012년 1월부터 배포된 인천종합관광정보 앱이다. 지난해 10월까지 5년여 간 이 앱의 누적 다운로드 건수는 1만3000여건이다. 하루 평균 7.7명만이 열어 본 셈이다. 1095만원의 예산을 들인 '인천맛집' 앱도 하루 평균 9건에 그쳤다. 도보여행 정보를 안내하는 '인천둘레길' 앱의 누적 다운로드 횟수는 2971건으로 하루 평균 1.7건 수준이었다. 인천의 관광 관련 공무원 또는 이들 앱을 개발하고 유지 관리하는 업체 관계자들 정도가 활용한 수준이다.

감사원의 지적이 더 눈에 띤다. 한국관광공사가 개발해 운영하고 있는 '대한민국 구석구석'이라는 관광정보 앱과 내용과 기능이 유사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앱의 하루 평균 이용 건수는 2000여 건에 달한다. 문체부는 각 지자체들이 '대한민국 구석구석' 앱을 활용해 지역의 명소를 알릴 수 있도록 하는 '마이앱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지만 40여개 지자체가 비슷한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자체적으로 앱을 개발·운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인천시가 바로 그런 예다.

굳이 '혈세'라고까지 부를 것도 없다, 공직자라면 시민 세금 무서운 줄을 알아야 한다. 그까짓 2억∼3억원이라고 해서는 안 된다. 자기 주머니 돈이라면 그럴 수 없을 것이다. 이런 자세들이 쌓여 월미은하레일 같은 사태를 몰고 오는 것이다. 더 큰 문제는 예산 낭비에 대한 감시·견제가 느슨하고 책임 소재가 불분명한 시스템이다.

지역 정보 관련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에서도 성공작이 적지 않다. '인천버스' 앱 같은 것은 이제 인천 시민들에게 필수품 같은 서비스가 돼 있다. '인천에 꼭 필요한 사업', 이것이 중복 투자에 따른 세금 누수를 막는 지름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