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보다 개보수 정책 세워야
층수가 낮은 인천지역 단독주택의 노후화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040년쯤에는 원도심을 중심으로 이같은 현상이 더 심해져 심각한 도시문제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천시가 재개발·재건축 사업보다는 개별 노후주택 개보수 정책을 서둘러 세워야 하는 대목이다.
 
인천발전연구원은 26일 지난해 기초 연구과제로 수행한 '인천 원도심 저층주택의 노후화 실태와 대응 방향'을 담은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를 보면 인천지역 단독주택은 전국 평균 24.3%보다 낮은 10.9%다.
 
그러나 노후도는 총 52.1%로 서울(43.9%)과 경기도(32.6%), 5대 광역시(51.2%)보다 높다.
 
30년이 넘은 인천지역 단독주택은 총 5만3576호다.
 
원도심인 중구, 동구, 남구, 부평구에 주로 몰려 있는데, 저층 단독주택 노후도와 면적 대비 노후도가 모두 심한 상태다.
 
이 지역은 토지구획사업을 통해 조성한 격자형 구조 비중이 높은데다, 공원과 주차장 등 기반 시설 여건이 나쁘다.
 
현재 인천은 경제자유구역과 검단신도시같은 대규모 개발 사업 물량이 남아 있어 향후 20년 정도는 해마다 1~2만호에 가까운 주택 공급이 이어질 전망이다.
 
하지만 신규 주택 공급에 따른 도시정비사업 지연, 추가 해제가 불가피해 원도심에 쏠린 저층 노후주택 정비 가능성은 더 낮다.
 
최근 5년새 인천지역에 새로 공급한 연평균 저층주택은 6800호다.
 
아파트 1만9000호를 기준 물량으로 잡아 50년을 넘긴 주택을 멸실주택으로 처리해 계산하면 2040년쯤에는 저층주택 노후도가 59.6%까지 오른다는 결론이 나온다.
 
2015년 저층주택 노후도가 18.6%인 점에 견줘 무려 41%나 상승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재개발·재건축 사업 등 기존 정비수단을 극복하는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왕기 인발연 도시기반연구실 선임연구위원은 "저층주택 노후화가 앞으로 인천지역의 심각한 도시문제로 떠오를 수 있다"며 "시가 개별 노후주택 정비를 활성화하는 행정지원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이런 점에서 시가 추진 중인 마을주택관리소와 하우징닥터 정책의 기능을 개선하고 관련 예산을 늘려야 한다"면서 "저층 노후주택 정비 주체인 주민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정책 연계 방안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황신섭 기자 hss@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