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자 수익성에 초점 비판 일고 체납 기업인 연루 의혹도 겹쳐
인천지역 민간공원개발사업(숲세권사업)에 잡음이 잇따라 터져나오고 있다.

민간 소유 부지를 매입할 재정 형편이 안되는 인천시의 고육지책이지만 공공성보다는 민간사업자의 수익성에 촛점을 맞췄단 비판이 일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검단중앙공원(서구 왕길동 산 14-1 일대)은 고액 체납으로 신용불량자 상태인 정보근 전 한보그룹 회장이 연루됐다는 의혹에 일고 있다. 고의적 탈세·체납 기업인이 주도하는 민간공원사업은
이미 공공성을 훼손했다는 시민 여론이다.

여기에 녹지공간을 줄여 조성하는 아파트가 정 전 회장 일가의 재산 은닉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는 만큼 사업 제안자 구성과 실체를 면밀히 파악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관련기사 3면>

남구 관교동 산 102일대 관교공원도 깎여 아파트가 들어선다. 숲세권사업에 주민들의 원성이 높다.

주민 A씨는 "공원을 축소해 고층 아파트를 건설할 경우 승학산 둘레길 훼손이 우려되고 조망권이 침해된다"며 "시가 부지를 매입해 계획대로 공원을 조성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였다.

남구의회는 2월 승학산 관교근린공원내 아파트 건설사업 반대 결의안을 의결했고 주민 4300명은 인천시 서명서를 제출했다.

실제 대전에서는 5개 도시공원 민간개발 특례사업에 투입될 사업비 2조원 중 아파트 등 비공원시설에 1조7000억원이 투입됐지만 공원조성에 고작 전체 사업비의 3.5%인 708억원만 들여 주민들의 거센 비판을 받았다.

시가 10개 민간공원개발 사업을 검토할지는 아직 미지수다.

시 관계자는 "사업 추진 과정에서 각종 심의와 주민들과의 협의를 통해 사업성을 판단하고 무분별한 환경 파괴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강희 인천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는 "정부 지침에 따라 민간공원개발사업을 진행해야 하지만 시는 지역 녹지를 훼손시키지 않는 최선의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며 "시민들의 이용도나 지역별 사안 등에 따라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신나영기자 creamyn@incheonilbo.com


관련기사
숲세권사업 검증·가이드라인 필요 인천시 민간공원개발사업의 타당성 논란이 증폭되면서 시의 신중한 검증 절차와 대응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15일 인천시에 따르면 2020년 7월 도시공원일몰제로 인천 전체 공원부지 중 약 45%에 해당하는 2100만㎥ 규모의 장기미집행공원이 해제된다. 시는 일몰제 이후 해당 부지의 난개발을 우려하면서도 공원을 직접 조성하는데 필요한 약 1조원을 부담하기 힘들다는 판단에서 민간공원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민간 개발 방식으로 도시 공원이 조성될 경우 일부 아파트 개발을 통한 공원녹지공간의 잠식이 우려된다. 시민들의 이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