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여파가 정치를 넘어 경제·문화 등 다양한 분야로 확산될 조짐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창조경제혁신센터'로 미래가 불투명하다는 지적이다. 이 혁신센터는 박 전 대통령이 취임 초기부터 관심을 갖고 추진해온 역점사업이었다. 각 지자체와 대기업의 협력체제로 창업생태계를 조성하고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한다는 취지 아래 전국에 17개의 혁신센터가 구축됐다.

인천의 경우 지난 2014년 3월 물류·ICT기반 신산업 창출 및 한·중 교류협력 전초기지를 목표로 시와 한진그룹, KT가 협업해 센터를 출범시켰다. 이후 센터는 스마트물류와 스마트시티, 에너지 효율화 중심의 스타트업 기업을 발굴·육성해 중소·벤처기업들의 수출경쟁력을 향상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실제로 70개 업체가 보육과정을 거쳤으며, 현재 18개 업체가 센터에 입주해 연구 및 기업활동에 전념하고 있다. 이 같은 혁신센터의 미래가 어두워졌다.

박근혜 정부의 주력사업이라는 점에서 예산 축소와 운영 중단 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여기에 최순실의 개입여부까지 도마에 오르며 전체적인 사업의 중단까지 고민해야 하는 상황을 맞았다. 그러나 혁신센터의 순기능을 고려하면 무조건적인 사업중단은 또다른 실패로 이어질 뿐이다. 혁신센터의 목표가 창업생태계 조성과 청년일자리 창출 등에 있다면 그 본래 취지를 바로 세우고, 제대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면 될 것이다. 그간 센터의 역할은 적지않았다. 민간기업과 지자체의 협업은 새로운 시스템이었다. "벤처창업과 지역경제활성화가 목표인만큼 혁신센터는 정권이 바귀더라도 꾸준히 추진돼야 한다"는 센터 관계자의 지적은 정책담당자들과 정치권도 분명 곱씹어봐야할 대목이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출범 당시 새로운 기대를 불러일으켰다. 지자체와 대기업이 주도하는 창업생태계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라는 차원에서 관심을 가지기에 충분했다. 이제 출범 2년에 불과한 상태로 아직 걸음마단계에 불과하다. 결과를 단정하기엔 기간이 너무 짧다. 센터의 순기능을 높이는 체계적인 운영의 묘를 찾는 것이 필요하다. 그것이 바로 정치의 역할이자 정책담당자들의 의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