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이란 근로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은 상시근로자와는 달리 근로기간이 정해져 있는 계약직, 일용직을 일컫는다. 그러나 비정규직은 정규직에 비해 열악한 대우와 불안정한 고용환경 등으로 인해 사회적 논란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경기 비정규직지원센터가 최근 제작해 배포한 '2016 경기도 비정규직 백서'를 보면 비정규직 추이에 대한 우려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내 비정규직 근로자 현황과 관련 사업을 망라한 백서에 따르면 지난해 경기도 임금근로자는 515만명으로, 그중 비정규직은 158만명(31.3%)에 달했다. 이는 경기지역 임금근로자 10명 중 3명은 비정규직이라는 것이다. 또 300인 이상 민간 기업체 비정규직 비율도 32.7%(23만7천923명)로, 전국 평균(14.2%)보다 배 이상 높았다. 이는 통계청이 발표한 전국 300인 이상 기업의 비정규직 비율(14.2%)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다.

특히 경기도 간접 고용 비정규직의 경우 11만 2775명(15.49%)으로 2016년 8월 현재 전체 임금근로자 대비 파견용역근로자 비율(4.6%)보다 세 배 이상 높은 것이다. 이는 아직도 경기도내 사업장에서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규모가 크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즉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근로여건이 별로 나아진 것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 2014년 이랜드의 비정규직 대량해고 사태를 다뤘던 영화 '카트'는 당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삶을 재조명해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었다. 당시 영화에서 보여줬던 비정규직들의 힘겨운 근무여건은 우리가족이나 이웃들의 '고단한 삶', 그 자체였기 때문이다.

선거의 계절이 도래했다. 출마자들은 저마다 자신이 적임자라며 노동계에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노동계의 표를 얻기 위해 각 후보자들은 말의 성찬을 이어갈 것이다. 최근 대선 출마를 선언한 남경필 지사는 비정규직 문제에 대해 '준정규직 확대'를 주장했다고 한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사이에 있는 무기계약직과 같은 준정규직을 확대해 나간다는 것이다. 또 다른 여타 후보들도 장밋빛 노동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공약대로라면 누가 당선되든 조만간 비정규직 노동자들도 살만한 세상이 될 듯 싶다. 옥석을 가려 어떤 후보가 현실성 있는 노동정책을 제시하는지에 대해 더욱 꼼꼼히 따져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