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성 예상보다 낮다는 소식에 투자의향 한 곳도 없어
개항창조도시 재생 악영향 … 시 "코레일 사업의지 기대"
민간 사업자 공모를 앞둔 인천역 복합 개발 사업에 먹구름이 드리워지고 있다. 사업성이 예상보다 낮다는 소식이 불투명한 부동산 경기와 맞물리면서 민자 유치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인천역을 중심으로 한 개항창조도시 재생 사업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도 있다.

인천시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진행하고 있는 '인천역 복합 역사 개발 타당성·기본구상' 용역이 다음달 말 마무리된다고 23일 밝혔다.

코레일은 지난해 11월부터 용역을 통해 복합 역사에 도입할 시설과 건축 규모 등을 계획하고 있다. 아직 용역 결과가 공개되진 않았으나 사업 타당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시 관계자는 "조만간 코레일과 중간보고회를 열기로 했다"면서도 "사업성이 낮다는 결과가 제시되면 일부 계획이 변경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번 용역에서 타당성이 인정되면 올 상반기에 사업자 공모 절차가 진행된다. 시는 올해 안에 민간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해 내년 상반기 개발 사업에 착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인천역 복합 개발에 나설 민간 사업자가 나타날지는 미지수다. 2015년 5월 시와 코레일이 '인천역 복합 개발 사업 업무협약'을 맺은 뒤로 투자 의향을 내비친 사업자는 아예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민자 개발 과정에선 보통 사업자 공모에 앞서 사전 접촉이 이뤄지는데 인천역 개발이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불투명한 건설 경기라는 암초도 만났다. 한국은행은 '2017년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건설투자 증가율을 지난해(10.9%) 절반도 되지 않는 4.3%로 예측했다. 투자 시장이 얼어붙으면 사업자를 찾기도 그만큼 어려워진다.

개발 지연으로 규제 완화 조치가 물거품이 될 가능성도 남아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7월 인천역 복합 역사 부지 2만4693㎡를 '입지규제 최소구역'으로 지정했다. 건폐율과 용적률, 건물 높이 등의 규제는 대폭 완화됐지만 지정된 지 3년 안에 착공되지 않으면 효력이 사라진다.

인천역 복합 개발이 지지부진하면 정부 공모 사업으로 추진되는 개항창조도시 재생 사업도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인천역 개발 사업은 인천항 8부두 창고를 활용하는 '상상플랫폼', 우회고가로 철거 등과 함께 개항창조도시 사업의 한 축을 이룬다.

시 관계자는 "민자 유치 전망이 밝진 않지만 코레일이 사업 의지를 강하게 보이고 있다는 점에 기대를 걸고 있다"고 말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