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11.png
▲ /연합뉴스


중국 정부의 북한산 석탄수입 전면 중단 발표로 외화벌이에서 치명타를 맞은 북한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사이버범죄를 시도할 가능성이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은 20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발 기사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이복형으로 친중(親中) 인사인 김정남의 암살과 지속적인 핵무기 개발의 보복 조치로 중국이 북한산 석탄수입을 중단했다면서 궁지에 몰린 북한이 외화벌이 수단으로 불법 사이버테러를 시도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중국 상무부는 유엔 대북제재 결의 이행을 위해 이달 19일부터 올해 말까지 북한산 석탄수입을 전면 중단한다고 18일 밝혔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작년 말 북한산 석탄수출량에 상한을 두는 대북제재 결의안 2321호를 가결했다.

북한의 최대 수출품이자 중국 전체 북한 수출량의 40%를 차지하는 석탄을 묶은 중국의 조처는 가장 강력한 대북제재로 평가받는다.

중국의 석탄수입 중단에 따라 한해 최대 약 1조 원의 외화 손실을 볼 북한이 무기·마약 밀매 등 불법 사업으로 눈을 돌릴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일찌감치 나왔다. 사이버범죄도 그중 하나다.

타임은 자유민주연구원을 인용해 현재 북한에서 활동 중인 해커가 6천800명에 달하고 이들이 국제사기, 협박, 온라인 도박 등에서 해마다 8억6천만 달러(약 9천868억5천만 원)를 벌어들이고 있다고 소개했다.

미주리대학의 동아시아 전문가인 시나 그레이텐스 교수는 "외화 수익 창출의 다른 길이 막혔다면 북한 정권이 사이버범죄를 최우선 순위에 둘 것"이라고 내다봤다.

북한 정권의 주도로 중국 동북 지방인 선양과 단둥에 기반을 둔 중국 정보기술(IT) 기업에 취직한 북한 해커들은 외화벌이, 정보수집, 한국과 미국과 같은 적국의 기반 약화를 겨냥한 악성 코드 이식 등 세 가지 목적에서 각종 불법 행위를 전담한다.

그간 북한의 사이버 공격은 여러차례 국제사회의 우려를 낳았다.

2014년 김정은 위원장의 암살을 소재로 한 코미디 영화 '인터뷰'를 제작한 소니 영화사를 해킹한 게 대표적이다.

미국 정부와 의회 정치인들이 북한의 사이버 공격을 강력하게 규탄하고 대북제재 가능성을 비치기도 했다.

북한은 또 지난해 우리나라 대기업과 공공기관, 정부 부처 등 160여 곳에서 사용하는 PC 13만대 이상의 통합관리망에 침투한 사실이 6월 경찰 수사로 드러나기도 했다.

PC 통제권을 확보한 뒤 악성 코드를 심어 대대적인 사이버 공격을 감행하려다가 사전에 적발된 것이다.

북한은 지난해 2월 방글라데시 중앙은행을 비롯해 2015년 10월 필리핀, 같은 해 12월 베트남 은행 등 동남아시아 3개국 은행 해킹의 주된 용의 국가로 꼽힌다.

인터넷보안회사인 시만텍의 한 관계자는 뉴욕타임스 인터뷰에서 소니 영화사 해킹에 사용된 코드가 3개 은행 해킹에도 활용됐다면서 "국가 차원에서 해킹으로 돈을 훔치려는 것은 처음 봤다"고 전하기도 했다.

북한 해커는 지난해 7월 소셜커머스 인터파크를 해킹해 고객 1천30만 명의 정보를 빼돌린 뒤 회사 임원급 인사에게 이메일을 보내 "30억 원을 비트코인(가상화폐)으로 송금하지 않으면 고객정보 유출 사실을 공개하겠다"고 협박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경제 제재로 외화벌이가 어려워진 북한이 해킹으로 금전적 이익을 얻으려 했던 것으로 보고 정찰총국 소속 해커의 소행으로 추정했다.

타임은 북한의 핵탄두 미사일 개발이 막바지로 향할수록 자금 마련을 위한 해커들의 해킹이 더욱 기승을 떨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