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가축재앙에 속수무책이다. 사상 최대의 보상비와 방역비가 투입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피해에 이어 구제역까지 겹치면서 지자체 재정 부담은 물론 매몰지 제1차 재앙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경기도 방역당국은 지난해 11월20일 양주시에서 첫 AI가 발생해 지금까지 13개 시·군 202개 농가에서 1573만7000마리의 닭과 오리, 메추리 등 가금류를 살처분했다.

도내 전체 가금류 사육 두수 5400만마리의 3분의 1에 해당하고, 전국 전체 살처분 두수 3313만4000여마리의 절반에 육박하는 수치다. 이는 지난 2014년 69개 농가 292만8000마리, 2011년 86개 농가 234만3000마리의 5~6배에 이른다. 지금까지 살처분 보상금은 584억원이 지급됐다. 향후 정산할 보상금은 675억원으로 추산되고 있다.

또 매몰 비용으로 30억 원을 지원했고 17개 시·군 90곳에 설치된 거점소독소와 통제초소 운영비, 소독 약품 구입비 등 방역비로는 66억7000만원이 지출됐다. 설상가상으로 지난 8일 연천 젖소농가에서 구제역이 발생했다. AI가 잠시 소강상태라 하지만 아직 종식되지 않은 상황에서 구제역까지 겹치면서 방역당국이나 국민들의 식탁 불안은 더욱 커지고 있다. 더욱이 이같은 불안은 5~6월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도 대책본부 관계자는 "AI, 구제역 모두 5~6월까지 장기전을 각오하며 도 예비비와 재난안전기금의 추가 투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가 한꺼번에 터지면서 2차 재앙에 대한 우려도 문제다. AI 발생으로 도내 13개 시·군 202 농가에서 1573만7000마리가 살처분됐다, 여기에 구제역 매몰지까지 늘어난다면 경기도 전역이 동물무덤이 될 판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지난해 11월부터 3개월여 간 AI 확산을 막기 위해 악전고투해왔다. 하지만 그 후유증은 너무 크다. 지자체들은 사상초유의 가축재앙에 재정이 거널날 판이다. 국민들은 가축전염병에 오른 물가에 이중고를 치르고 있다. 근본적인 가축재앙을 막기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매년 반복되고 있는 재앙에 국민들의 먹거리 위협과 국토 오염 등으로 인한 손실이 너무 크다. 살처분할때 매몰 매뉴얼을 잘 지키고, 또다른 가축재앙이 발병하지 않도록 사전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국민들은 또다른 재앙을 낳을까 걱정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