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300만명을 넘어서며 서울·부산에 이어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3대 도시로 발돋움한 인천광역시. 그러나 인천시민들이 삶을 영위하고 있는 도심권의 현실을 살며보면 외형적인 기록과 평가가 낯뜨겁다. 문제는 수십 년째 쇠락한 채 개발에서 제외된 원도심권에 시민 절대다수가 거주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이유로 인천은 삶의 질에서 이미 양극화가 극심한 도시가 됐다. 이런 차제에 시와 시의회가 중심이 된 '원도심 재생협의회'가 발족했다는 점에, 늦었지만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인천이 영종과 송도국제도시 및 청라 경제자유구역의 개발 등으로 물류와 경제의 중심도시로 급성장하는 사이 과거 인천의 중심이었던 원도심권은 쇠퇴일로를 걸어왔다. 인천발전연구원이 발표한 '1980년~2010년, 도시쇠퇴 실태' 결과 인천의 131개 읍·면·동 중 63%에 달하는 83개동이 쇠퇴한 것으로 밝혀졌다. 주거환경은 더욱 나빠졌으며,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떠났다. 실제로 중구와 동구에서 12만명의 시민들이 살던 곳을 떠나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아갔다. 119곳에 이르는 도시정비사업지구는 구두선으로 그친지 오래다. 도시의 쇠퇴는 이젠 부평과 연수구 등지로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재생협의회는 먼저 시행초기인 뉴스테이사업을 점검하고, 폐·공가도 점검할 계획이다. 마을공동체 공간도 마련한다고 한다. 이미 상당수의 부채를 갚아 여기에 소요되는 시 재정도 자신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바라보는 시민들의 시선에서 우려함이 읽혀진다. 시 관계자들의 자신감이 왠지 불안감을 자극한다. 원도심 재생사업은 지리적인 상황과 지역의 역사, 삶을 영위하는 원주민들의 삶까지 감안, 향후 미래를 담보할 수 있는 계획아래 추진돼야 한다. 중구와 동구 등 원도심권에 무조건적으로 도시형생활주택이나 뉴스테이사업을 펼칠 수 없는 이유다. 더욱이 걱정되는 것은 협의회에 민간인들과 지역주민들, 그리고 지역의 역사와 삶을 이어갈 주민들이 배제돼 있다는 점이다.

좀 더 폭넓은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도록 방안을 보완하기 바란다. 여러 사람들이 지혜를 모은다면 과거 원도심의 추억과 미래 삶의 터전으로서의 삶의 공간이 새롭게 태어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