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수.jpg
베이비부머가 태어나기 시작하던 60여년전 UN보고서는 노인의 연령기준을 65세로 발표했다. 고령인구가 늘어나고 평균수명이 연장된다고 하지만 현재까지도 이 기준은 전 세계에서 통용되고 있다.

당시 UN은 고령인구비율에 따라 국가사회의 인구구조 특성을 분류하기도 했다.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인구의 4% 미만인 국가를 유년인구국이라 했고, 4∼7%는 성년인구국으로 구분했다. 고령인구가 7% 이상이 되면 노년인구국이다. 노년인구국을 다시 고령인구의 비율이 7∼14%에 있으면 고령화 사회, 14∼20% 사이는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나눴다.

우리나라는 올해 고령사회에 진입한다. 노인인구가 유소년인구를 초월하게 됐다.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후 17년 만에 맞은 빠른 변화다. 2025년경이면 초고령사회에 들어갈 전망이다. 고령화는 사회적 변화를 의미한다.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노인집단의 파워가 강력해 진다는 것이다. 물론 노년기가 연장된 만큼 인생에서 노년이 중요한 시기로 떠올랐다.

65세 노인 연령기준을 UN이 발표한 이후 환갑이 지난 시점에서 변화의 시각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과 일본이 고령화의 속도와 길어지는 평균수명을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노인 연령기준에 대한 의견을 내놓고 있다. 최근 일본노년학회가 노인연령기준을 75세 이상으로 상향 조정해야 한다고 나섰다. 노인 연령을 75∼89세로 하고, 90세 이상은 '초고령자'로 구분해 보자는 것이다.

이에 앞서 2015년 대한노인회는 이사회에서 노인연령 70세 조정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국가재정과도 연관된 사안이다. 노인에게 제공되는 여러 가지 복지혜택을 줄여 국가재정의 숨통을 트고, 담세 인력의 부담을 줄여야 한다는 취지다. 노인연령기준이 올라가면 당연히 연금지급시기도 늦출 것이다. 이에 따른 노인일자리 제공 등 노인들의 소득보장은 시급한 대응 과제다.

올해 하반기부터 55세 이상을 지칭해온 '고령자' 호칭도 '장년'으로 바꾸어 부르게 된다. 호칭이 아니더라도 고령자의 신체, 심리 영역에서의 회춘이 돋보이는 현실이다. 나이 구애 없이 노익장을 과시하는 '젊은 노인'들도 많다. 70∼80대에도 기관장, CEO, 리더 등으로 각계각층에서 활약하고 있다. 다만 노회인가, 능력인가? 장년들이 설 자리가 없을까 걱정될 지경이다.

/논설주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