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가 9일 올 한해 추진할 주요 업무계획을 내놨다. 한 마디로 인천의 입장에서는 실망스럽기 그지없다. 정책의 거의 대부분이 부산항 관련 내용 일색이다. 해수부의 방향은 지난해 몰아친 한진해운 사태 이후 삐거덕거리는부산항의 위상강화에 모아졌다. 해수부는 부산항을 세계 2대 환적거점 항만으로 키우기 위한 중장기 전략인 '부산항 메가포트 육성전략'을 연내 수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항로 17m 증심과 선박오염 방지를 위한 LNG 공급기지 구축도 추진된다. 게다가 크루즈 모항도 부산의 몫으로 돌아갔다. 크루즈산업 활성화를 위해 수 년 전부터 벌여오고 있는 인천의 노력에 찬물을 끼얹었다.

인천과 관련된 내용도 물론 있다.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인 남항 22만t급 크루즈 전용부두를 개장하고, 해양생태계 보호 차원에서 서해를 대표하는 해양생물 개체수 회복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달랑 이 것뿐이다. 앞서 인천은 해양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에서도 부산에 밀렸다. 해수부는 지난해 11월 부산항을 시범지역으로 해서 클러스터 개발계획을 세우겠다고 밝힌 바 있다.

부산항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항만이라는데 이의를 달 사람은 없다. 정부의 항만정책도 이런 기조에 맞춰 과잉·중복투자라는 타 지역의 거센 비난여론에도 불구하고 오랜 기간 '투-포트'시스템을 유지하면서 부산과 광양항에 엄청난 예산을 쏟아부어왔다. 지난해 한진해운 사태로 부산항은 직격탄을 맞았다. 2009년 이후 7년 만에 환적화물이 감소세로 돌아섰고, 4월부터는 북미-유럽노선 환적화물이 8%가량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총체적 난국 속에 지역 해운업계를 중심으로 "이러다간 공멸할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차제에 나온 해수부의 정책방향이 일견 이해는 간다. 하지만 동의하기는 어렵다. 부산항이 중요하면 인천항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인천의 미래비전은 항만과 공항을 중심으로 한 물류산업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해수부는 언제까지 이럴 것인가. 언제까지 인천시민들의 바람을 외면할 것인가. 국가를 위한 부처인지, 부산을 위한 부처인지 도대체 가늠이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