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가족공원 내 '일반인 희생자' 기리는 곳
정부 운영비 안줘 유가족 돈 모아 최소 운영
▲ 세월호 참사 발생 1000일을 하루 앞둔 8일 부평 인천가족공원안에 있는 세월호 일반인 희생자 추모관에서 유가족이 세월호 모형을 보며 생각에 잠겨있다. /양진수 기자 photosmith@incheonilbo.com
▲ 부평 인천가족공원안에 있는 세월호 일반인 희생자 추모관이 굳게 닫혀 있다. /양진수 기자 photosmith@incheonilbo.com
세월호 1000일. 일반인 희생자의 아픔은 아직 가시지 않았다. 일반인 희생자 추모관이 파행 운영을 거듭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추모관 운영비를 주지 않아 전기와 난방이 끊길 정도로 열악한 상황에 처했다. 유가족들이 십시일반 돈을 걷어 최소한으로 운영하고 있는 형편이다. 유가족들은 "영원히 잊지 않겠다"던 정부와 정치인들의 행태에 분노하고 있다.


▲"정부 무능이 추모관 파행 불렀다"

8일 오전 세월호 일반인 희생자 추모관 문은 자물쇠로 굳게 닫혀 있었다. 문에는 '정부의 무능함으로 추모관 문을 닫게 되었습니다'라고 적힌 종이가 붙어 있다. 유가족들이 써 붙인 글귀다. 추모관은 올해 1월1일부터 문을 닫았다. 정부가 추모관 운영 예산을 주지 않은 탓이다.

유가족에게 협조를 얻어 추모관 안으로 들어가 보니 영상실에 설치돼 있는 TV들은 모두 꺼져 있었다. 원래대로라면 당시 구조현장과 침몰하는 모습, 희생자 영결식 등이 상영돼야 할 시설이다. 난방이 꺼진 추모관 내부는 유가족 마음만큼이나 싸늘했다.

추모관은 작년 4월 개관했다. 유가족들은 추모관 개관 직후 운영비가 지원되지 않아 5개월간 파행 운영됐다고 입을 모은다. 간신히 4개월분의 운영비가 지원됐지만, 몇 개월 지나지 않아 올해 1월1일부터 운영비 중단 사태는 다시 반복되고 있다. 개관 1년도 되지 않아 두 번이나 위기를 겪은 셈이다.

정명교(37) 세월호 참사 일반인 희생자 대책위원회 대변인은 "추모관 개관 후 유가족이 몇만원씩 모아 겨우 운영했다"며 "후원금도 받지 않아 운영을 어떻게할 지 막막했다"고 말했다.


▲추모관, 국가시설물로 지정하자

추모관 파행운영의 핵심은 '운영비'다. 정부는 매번 운영비 예산 편성에 소극적으로 일관하고 있다. 돈이 끊기면서 계약직 관리직원 2명도 올해부터 일을 그만뒀다. 결국 올해 추모관 예산 편성도 무산된 상황이라, 인천시가 임시 운영해야 할 처지에 놓여있다.

뒤늦게 해양수산부는 시와 유가족과 함께 운영비 지원 여부를 협의하는 중이다. 하지만 협의도 이견 때문에 아직까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시와 유가족은 1년에 2억5000만원을 지원해달라고 요구하지만, 해수부는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기적인 예산지원이 이뤄지도록 추모관을 국가시설물로 지정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시 관계자는 "국가시설물로 지정되면 추모관도 안정적으로 예산을 받을 수 있다"며 "이를 위해 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박진영·정회진 기자 erhist@incheonilbo.com





'일반인 희생자'는 누구

환갑여행 용유초교 동창구조활동 사무장 등 45명




세월호 참사 일반인 희생자는 총 45명이다.
환갑여행을 떠났던 인천 용유초 동창 12명과 세월호 침몰 당시 직원과 학생 등을 구조활동을 멈추지 않은 양대홍 사무장이 포함됐다.

여기에 "너희 다 구하고 나도 따라갈게"라면서 학생들의 구조를 도왔지만 결국 본인은 나오지 못한 승무원 박지영씨도 있다.

세월호 참사 초기 국민과 정부의 관심이 모두 단원고 희생자에게 쏠리면서 일반인 희생자들은 상대적으로 소외됐다. 꽃다운 나이의 아들과 3딸을 보낼 수 밖에 없던 단원고 유족 못지 않게 일반인 희생자들의 슬픔 역시 컸다.

이후 2014년 9월 세월호 특별법 합의안을 수용하고, 같은 해 10월 부산국제영화제 초청작인 '다이빙 벨'의 상영 금지를 요청하면서 단원고 학생 유족 측과 갈등이 부각되기도 했다.


/박진영·정회진 기자 erhist@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