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명교 '일반인 희생자' 대책위 대변인
▲ 정명교 일반인 희생자 대변인
"세월호 참사 이후 줄곧 해오던 조경사업도 그만두게 돼 생업은 없어진지 오래죠. 단원고 희생자에 밀려 일반인 희생자를 도와주는 이도 없었어요. 안전이요? 오히려 다시 후퇴하고 있어요."

정명교(37) 세월호 일반인 희생자 대책위원회 대변인은 세월호 참사 1000일을 하루 앞둔 8일 이른 오전, 인천가족공원 만월당을 지나 세월호 일반인 희생자 추모관으로 향했다. 입구에는 추모객들이 적은 포스트잇 3장과 꽃 3개가 전부였다. 추모객들의 발길이 뜸하다보니 추모관에는 쌀쌀한 겨울 날씨만큼 스산한 기운이 감돌았다. <관련기사 19면>

불이 꺼진 사무실에서 정명교 대변인을 만났다. 정 대변인은 용유초등학교 동창들과 환갑 여행을 떠난 아버지를 세월호 참사로 잃은 유가족이다.

세월호는 남겨진 이들의 삶을 송두리째 바꿨다. 명절 때 가족들이 한데 모여 떡국을 나눠먹었고, 생일 때면 케이크에 촛불을 켜고 함께 노래를 부르던 평범한 이들이었다. 하지만 세월호 참사 이후, 가족과의 시간은 모두 추억이 돼버렸다.

"사고 후 조경 사업을 접다보니 동생에게 생활비를 받고 있는 형편이지요. 저 뿐만 아니라 상당수 유가족들도 상황이 비슷해요."

유가족들을 더욱 힘들게 하는 것은 일반인 희생자에 대한 정부와 정치인, 국민들의 무관심이다. 꽃다운 나이에 안타깝게 희생된 단원고 학생들은 크게 주목 받았지만, 상대적으로 적고 고령이었던 일반인 희생자들의 이야기는 조용히 묻혔다. 일반인 희생자는 용유초 동창생 12명을 포함해 총 45명이다.

"세월호 참사가 발생하고 난 뒤 모든 관심은 단원고로 향해 있었어요. 사고가 발생하고 몇 개월 뒤 모든 국회의원실에 '우리의 이야기를 들어 주세요'라는 내용을 적은 A4 용지를 모두 보냈었죠. 하지만 어느 누구도 도와주지 않았죠. 세월호 특별법도 이미 내용들이 사실상 확정되고 난 후에야 일반인 유가족들이 확인할 수 있었고요."

여기에 가장 안타까운 것은 세월호 참사를 통해 안전 사회를 건설하겠다고 한 다짐들이 점점 희미해져가고 있다는 것이다.

"세월호 참사 이후 크고 작은 사건·사고들이 발생했지만 그 때마다 보여준 정부의 대응은 안일했어요. 특히 경주에서 지진이 발생했을 때 정부에서는 긴급재난문자도 뒤늦게 발송이 됐었죠. 안전한 사회 체계를 만들겠다고 했지만 오히려 후퇴하고 있어 걱정입니다. "
끝으로 그는 추모관에 더 많은 시민들이 찾아오길 바라는 마음도 전했다.

"추모관에 대한 홍보가 제대로 되지 않아 인천가족공원 주변에 있는 식당 주인들마저 운영이 되고 있는지 조차 잘 모릅니다. 추모관이 희생자를 추념하고, 학생들의 안전의식을 높이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을 가져주시길 바랍니다."

/박진영·정회진 기자 erhist@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