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제적 대응 가능해야" 지적…경기도 "효율적 방역체계 다각도 고민"
조류 인플루엔자(AI)가 해마다 경기도를 비롯해 전국을 휩쓸고 있는 가운데 국내 유입경로나 전염 확산 등을 사전에 모니터 할 수 있는 통합관리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관련기사 19면>

1일 농림축산검역본부와 경기도 등에 따르면 강원도에서도 첫 AI 감염 의심 농가가 나오면서 전국에서 살처분 된 닭·오리 등 가금류는 300만 마리에 육박하고 있다.

경기도내에서는 양주와 포천, 안성, 이천, 양주, 평택 등 의심신고가 접수된 9곳 가운데 1일 현재 6곳이 AI 확진 판정을 받았고 평택 1곳, 양주 1곳, 화성 1곳 등 3곳은 정밀검사가 진행 중이다.

이런 가운데 국내 방역당국이 AI 확산 방지를 위해서는 사전 모니터링을 통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실제 일본의 경우 가금류 농장을 대상으로 위험군 전수 조사와 무작위 추출 등 중복적, 정기적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가금류의 혈액조사와 시료 분석을 통해 발병 유무를 체크하는 등 AI 발병에 대해 선제적 대응을 하고 있다.

특히 AI의 국가간 전이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 국제적 유입경로를 비롯 지속적인 추적·관리 등을 담은 예방 정책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도는 매년 9월 경 특별방역과 상시예찰, 비상근무, 철새도래지 등 분변 채취, 소규모 가금류 사육농가 방역 등 예방에 나서고 있지만, 인력부족 등 확산을 막는 데는 역부족이다.

김호겸(민·수원6) 의원은 "매년 되풀이 되고 있는 AI 방역이 사후 처리에만 몰두하고 있다.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통합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면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속적인 추적·이력관리 매뉴얼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도 관계자는 "철새에 위치 추적기 등을 달아 추적하는 등 방역에 총력을 다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환경생태계 파괴 등 제약이 있다"면서 "통합관리시스템 마련 등 효율적인 방역체계에 대해 여러 각도로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재수 기자 jjs3885@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