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하천 갈수록 정상 범위 벗어나 매달 15곳 4~6등급
"가정·공장 폐수만 규제 … 호우 등 오염원 유입 속수무책"
▲ 경기지역 하천의 오염과 훼손이 매년 반복적으로 악순환되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7월 심각한 녹조가 발생한 발안천 하류 모습. /인천일보 DB
매년 여름철만 되면 경기지역 상당수의 하천이 오염에 따른 심한 악취에 시달리고 있다.

지자체의 하천 복원사업이 땜질 처방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본보가 경기지역 하천에 대한 모니터링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년 전부터 경기지역에 위치한 하천들이 분기마다 정상 수질범위를 초과한 '오염하천'으로 전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질 평가는 생활환경기준인 수소이온농도(PH),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용존산소량(DO),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등 항목을 적용해 구분한다.

하천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BOD(생물학적산소요구량, ㎎/L) 수치를 근거로 1~6등급으로 나눠 구분하고 있다.

올 여름처럼 가뭄과 무더위가 지속되면 '녹조현상'이 발생하는 등 하천 오염의 악순환은 반복되고 있다.

올해의 하천 모니터링에서도 4~6등급의 하천은 매달 15곳 정도가 발생했다. 가장 최근인 7월 수질측정자료에는 시흥 양달천, 양주 신천, 동두천 지행천·상패천, 포천 외북천 등에서 BOD가 최대 200 가까이 상승하기도 했다.

앞서 2014년에도 경기지역 15곳의 하천은 BOD 수치가 5등급을 넘겨 하위등급으로 분류된 것으로 나타났다.

4등급의 하천은 정화하지 않으면 농업용수나 공업용수로도 사용할 수 없다.

이들 하천 중 절반 이상이 BOD 10이하의 5등급으로 나왔고, 양주시의 효촌천, 동두천 상패천, 평택 남양호 등은 가장 심각한 달에는 BOD 수치가 20에서 100 가까이 오를 정도로 수질이 급격하게 오염됐다.

5등급 수질의 하천은 물이 까맣거나 냄새가 고약할 정도로 심각하게 오염돼 물고기가 서식할 수 없고, 인체에 피부병을 유발할 우려도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원인에 대해 지자체의 하천 복원사업이 '땜질' 방식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이들은 하천 오염을 사전에 방지할 시설이나 대안을 마련하지 않은채 주먹구구식으로 토목공사 중심으로 하천 복원사업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하천을 자연친화적으로 복원하려면 '비점오염원'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분석하고 있다.

그동안 국내 하천 관리는 가정에서의 생활하수와 공장하수와 산업시설에 오염처리수준을 강화하는 등의 '점오염원' 규제방식의 정책이 주를 이뤘다.

이 때문에 호우 등 자연적인 원인으로 하천에 오염원이 직접 유입되는 경우에는 속수무책이었다.

화성환경운동연합 정한철 사무국장은 "하구둑이 열리고, 갯벌이 살아있어 하천이 굽이치며 흐르며 오염물질을 바다로 가져가는 것이 자연적인 오염물을 정화하는 과정인데, 현재 국내는 비점오염원 등 예측이 어려운 오염원에 대해 해결대책이 미비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김현우 기자 kimhw@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