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수원에서 지진이 발생했다. 규모 2.3, 기상청 지진 관측 사상 첫 지진이다. 버스터미널 부근이다. 이 지진은 이제껏 안전지대로 인식됐던 중부지방도 예외가 아니라는 사실을 말한다.
지난해 8월 12일 이천시에서 발생한 진도 2.2의 지진을 포함, 1978년 관측 이후 지금까지 경기도에서 발생한 2.0 이상의 지진은 모두 48회에 달한다.

한국지질연구원이 2009~2012년 조사한 '활성단층 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보고서에 따르면 수원은 연천, 의정부, 서울, 구리, 성남, 안양, 오산, 평택으로 뻗어 있는 추가령단층에 속하고, 추가령단층은 활성단층일 가능성이 높다. 활성단층은 나이가 적어 활동가능성이 크고, 지진발생 확률도 높다고 한다. 어느 모로 보나 중부지역은 지진 안심지대가 아니다.

박남춘 의원(인천남동갑)은 경기도내 건축물의 90%가 지진에 무방비 상태라고 지적했다. 도내 전체 건축물 중에서 내진설계가 된 건축물은 10.6%에 불과하다. 학교는 22.9%, 동사무소 등 공공업무시설은 11%에 불과하다. 심지어 도가 운영하는 재난종합상황실 2곳 중 1곳도 내진설계가 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진선미 의원(서울강동구갑)이 밝힌 통계도 비슷하다.

주요건축물의 내진설계율은 13.8%에 불과하며, 주거시설의 내진율은 서울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며 대책을 촉구했다.

열거한 통계들은 지진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가 얼마나 안일했는지, 그야말로 여실히 보여준다. 지진이나 또 다른 재난에 대비하는 일이 얼마나 시급한 일이 되었는지를 역설한다. 관련법령부터 정비를 서둘러야 한다.
재난에 대비한 훈련도 필요하다. 하지만 무엇보다 꼼꼼히 챙겨야 할 일은 좀 더 근본적으로 우리 사회 시스템을 돌아보는 일이다. 가령 지질학 연구에 대한 투자나 관심은 이 정도로 되는 것인지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듣기로는 지질학의 전통을 이어오던 국내 대학들의 연구시스템이 거의 붕괴되었다고 한다.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와 관심을 되살리려는 노력이 아니고서는 마땅한 처방이 따로 있을 수 없다. 1차적으로 정부의 몫이요, 또한 국민 모두의 책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