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관옥 정치부장
윤관옥_2.jpg

인천이 이번 주 초 인구 300만명을 돌파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2020년은 돼야 300만명을 넘길 거라던 연구기관들의 과거 예측이 4년이나 앞당겨진 결과다.

세계적으로 인구 300만명 이상이 한데 어우러져 사는 도시는 대략 64곳 정도로 집계되고 있다.
우선 1000만명 이상 거대도시부터 살펴보면 상하이, 카라치, 뭄바이, 베이징, 모스크바, 상파울로, 톈진, 광저우, 델리, 선전 등 주로 중국 대륙에 많이 분포해 있다.

700만명 이상 도시도 적지 않은데 자카르타, 도쿄, 멕시코시티, 킨샤사, 방갈로르, 뉴욕, 라고스, 런던, 리마, 보고타, 테헤란, 호치민, 홍콩, 방콕, 다카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물론 인구가 900만 명대로 떨어진 대한민국 수도 서울도 이 그룹에 속한다.

인구 300만명 이상 메가시티로는 산티아고, 상트페테르부르크, 센네이, 충칭, 캘커타, 수랏, 양곤, 앙카라, 알렉산드리아, 센양, 뉴타이페이, 요하네스버그, 로스엔젤레스, 요코야마, 아비장, 부산, 케이프타운, 더반, 제다, 베를린, 평양, 마드리드, 나이로비, 푸네, 자이푸르, 카사블랑카, 니기타 등이 꼽힌다. 대한민국 부산도 이 그룹에 들어간다.

부산시 인구는 2015년 기준 약 356만명으로 인천보다 56만명이 많다. 인천 입장에서 보면 인천 서구만한 인구 규모의 도시가 새로 생겨나야 부산과 인구 규모가 맞먹게 된다는 결론이 나온다.
그런데 부산의 2015년 인구는 20년 전에 비교해 약 33만명이 줄어든 수치다. 강원도 원주시와 같은 중형도시 하나가 사라진 셈이다. 국회 입법조사처의 인구추이 분석 결과는 국내 2대 도시 부산에겐 더 가혹한 예측을 내놓고 있다. 앞으로 44년 뒤인 2060년이면 현재의 1/3인 약 100만 명이 감소하고 2100년엔 인구 100만명 도시로 전락할 것이라는 것이다.

반면 인천은 1979년 인구 100만 명 시대를 열더니 37년 만에 300만 명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앞으로도 인천의 인구 유입 요인은 상당히 많다.

송도·영종·청라 3곳의 경제자유구역이 여전히 개발 중이고 인천 앞바다는 지금의 송도국제도시보다 더 많은 면적의 매립면허를 받아놓은 상태다. 서구 검단 등 택지개발이 벌어질 수 있는 여유토지도 꽤 남아있는 편이다.

결국 인천이 부산을 앞질러 국내 대도시 가운데 2대 도시로 성장할 가능성은 차고 넘친다.

하지만 인천은 10개 군·구의 사정을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인천의 가파른 인구 증가를 이끌어온 지역은 남동구와 서구, 연수구, 중구 정도였다.

지역개발과 산업이 정체 현상을 보이고 있는 부평구는 2008년 57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완만한 하락세를 보이면서 현재 55만 명 선을 유지하고 있다. 동구 남구, 계양구는 가히 '인구절벽'을 실감케 한다. 반면 이들 지역에서의 고령화와 저출산, 복지재정 증대는 구정 운영에 심각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여러 섬을 포함하고 있는 강화군과 옹진군은 더 말할 나위 없는 지경이다.

사실 인천의 도시 성장과 팽창사를 따져보면 외부의 인구 유입이 원동력이 된 것은 자명하나 원도심에 살던 주민들이 신도심으로 대거 이주하면서 기존 도심의 해체 현상이 가속화돼 온 측면도 존재한다. 타 시·도로 이전해간 공장을 허물어 아파트를 짓고 여기에 갈 곳을 찾던 수도권의 중위층 이하 인구가 대거 이사오면서 새로운 주거 터전으로 삼아온 부분도 있다.

우리는 여기에서 한 가지 의미있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당장 몇년 후면 인구 400만 도시, 500만 도시가 될 것 같은 기대감에 들뜰 수도 있겠으나 지금의 현실을 직시한 대응책을 궁리하지 않는다면 머지않은 장래 인천도 자칫 부산과 엇비슷한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그것이다.

핵심은 지속가능한 발전에 있다.

세계로 웅비하는 메가시티가 되기 위해선 인천이 도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측정도구로서 '인구 규모'야말로 매우 중요한 척도가 될 수 있다. 하지만 꾸준히 인구가 늘고 늘어난 인구가 인천이란 도시에서 경제활동과 문화생활, 주거를 향유하면서 '인천사람'이란 정체성과 공동체 의식을 갖는 일은 좀처럼 쉬운 작업은 아닐 것이다.

때문에 인천시가 인구 300만 시대를 맞아 내세운 '시민이 창조하는 건강한 세계도시 인천'으로 나아가려면 반드시 시민들의 자각과 참여가 동반되어야만 한다.

인천시의 역할은 관 주도가 아닌 시민들의 자각과 참여를 추어올리고 확대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쪽으로 역량이 모아져야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