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이 남경필 지사의 대선용 정책 발굴 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최근 경기연은 13개 현안 이슈를 주제로 '주요 도정 이슈'라는 보고서를 연구·작성했는데, 이 보고서가 논란의 빌미를 제공한 모양이다.

보고서에는 각 사회, 경제 분야별 이슈를 비교·분석하고 이에 따른 기조와 대책을 제시하는 등 경기도의 정책 개발과는 동떨어진 전국적인 현안 이슈 내용들이 수록돼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정책을 비교·분석하고 이에 대한 기조와 대책을 내놓기도 했다. 특히 증세정책과 주거정책, 가계부채, 기업구조조정, 청년·신혼부부 주거 등 경기도 현안이라기 보다는 전국현안에 가까운 의제를 전국적인 통계를 바탕으로 이를 분석하고 대책을 제시했다고 한다.

문제의 보고서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 도정 이슈는 경기도와 크게 연관이 없는 현 정부의 정책들과 과거정부의 현안 정책들이다. 경기연이 도정과는 연관성이 떨어지는 미래계획을 설계했다면 남 지사의 대권 도전을 위한 대선용 기초자료 생산기기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의혹을 살만 하다.

물론 경기연은 도정발전에 관련된 국내외 주요현안을 연구 분석할 수는 있다. 하지만 남 지사는 지금 도정에 몰두하기보다는 대권 후보군으로 각종 전국적인 이슈를 내놓고 있다. 그런데 경기연이 이런 시점에 국정의제라고 할 만한 것들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보고서를 생산해 냈다는데 문제가 있어 보인다.

경기연 측은 경기연이 도의 브레인 역할을 하다보니 그런 의도로 비춰질 수 있지만 대선과는 전혀 상관 없는 연구라고 항변하고 있다. 경기연이 만약 남 지사의 대선용 정책 발굴 창구 역할을 했다면 선거 개입 여부 등을 물어야 할 것이다. 공공기관이 특정 정치인의 개인적인 권력욕구 실현을 위한 변칙적인 도구로 전략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경기연구원은 남 지사의 개인 싱크탱크가 아니다. 경기연은 경기도와 도내 31개 시군의 경쟁력 강화와 도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을 개발해 내고 도민을 위해 봉사해야 하는 도민의 기관이다. 경기연은 경기도의 발전을 위한 정책개발에 기여해야 한다는 당초 설립 목적을 다시 되돌아 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