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학생들이 각종 유해물질에 범벅된 학교환경에서 생활하고 있다는 소식에 학부모들은 노심초사하고 있다. 학교 교실부터 운동장, 학습교재까지 학생들은 유해물질 덩어리에서 생활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더욱 문제인 것은 교육당국의 태도이다. 경기도교육청은 지난 6월 도내 우레탄 운동장 트랙에서 납이 검출된지 4개월이 지났는데도 교체한 학교가 단 한군데도 없다는 사실이다. 긴급 예산까지 편성했으나 소위 행정절차를 밟기위해서는 앞으로도 한달여가 걸린다고 하니 몇 달간 납 덩어리 운동장에서 뛰어놀고 있는 자녀들을 생각하면 학부모들의 마음은 편치않다.

더불어민주당 송옥주(비례) 국회의원은 전국 실내 어린이활동공간의 중금속 실태 조사결과 어린이집 183곳 중 10곳과 유치원 41곳 중 28곳, 초등학교 453곳 중 33곳에서 납성분 기준치가 환경부 기준을 초과했다고 밝혔다. 운동장, 학교시설뿐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김민기(용인을)국회의원의 '초등학교 학습교구 환경호르몬 실태조사'에서 초등학교 체육교구 35개 제품 중 25개 PVC 재질의 모든 제품에서 프탈레이트(DEHP)가 0.01%~31.27% 수준으로 검출됐다고 밝혔다. 특히 체육교구 7개 제품에서는 기준보다 2.2~20배(680ppm~6,007ppm)의 납이 초과 검출돼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 유해물질 공통안전기준에서 정한 300ppm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정도면 학교 내 유해물질에 대한 종합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대책의 핵심은 예산이다. 우레탄 트랙을 전면교체 못하는 것도, 학교시설 내에 납이 초과 검출되도 교체를 서두르지 못하는 것은 결국 예산 때문이다. 경기도교육청의 시급성을 요구하는 학교 환경시설 개선 예산은 누리예산 등에 밀려 엄두도 못내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교육부는 학교시설 개선보다는 누리예산이 급선무라며 우회적으로 예산의 일부만 지급하고, 나머지는 지역교육청에서 지급하라고 강제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도교육청은 예산부족을 호소하며 학교시설개선에 적극 나서지 못하고 있다. 이제 교육부가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인식이 있다면 환경부와 협력해 적극 관리하고, 도교육청에 떠넘기지 말고 예산 마련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 그것이 교육부가 꼭 해야할 일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