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고속도로 일반화 등 사업 대다수 국비 의존형…재정난 탓 현실화 미지수
▲ 30일 오전 인천시 남동구 구월동 인천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교통주권 설명회'에 참석한 유정복 인천시장이 인천중심의 교통주권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상훈 기자 photohecho@incheonilbo.com

인천은 세계적인 공항과 항만이 있음에도 전국을 직접 연결하는 인천 중심의 교통망이 부족했다. 인천시는 야심차게 인천발 KTX 구상을 들고나왔다. 그러나 내년 정부 예산에 사업비가 반영안돼 출발부터 차질을 빚게 됐다.

당초 인천시는 200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내년에 착공하겠다는 계획이었지만 정부는 설계비 37억원을 배정하는데 그쳤다. 인천발 KTX 사업비가 당초 인천의 요구안보다 대폭 축소돼 인천시의 구상이 일부 차질을 빚을 수 밖에 없을 전망이다. 인천시가 정부와 사전교감도 없이 미리 교통청사진을 내놓았다는 목소리도 있다.

이같은 샹황에서도 인천시는 나름대로 지역 중심의 새로운 교통망 구축을 대책으로 내놨다. 그러나 나머지 사업도 상당 부분 국비에 의존해야 하는데다 막대한 시 예산이 수반될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전망이 밝아보이지만은 않는다는 지적이다.

재정난 인천시, 사업비 가능한가

인천시가 집중하고 있는 사업 중 하나는 경인고속도로 일반화다. 교통체증을 줄이고 지역 내 이동을 수월하게 하기 위한 방안으로 경인고속도로 인천나들목~서인천나들목까지 10.45㎞ 구간을 일반도로로 만든다.

인천시는 내년 상반기 국토교통부로부터 고속도로를 이관받아 2026년 준공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이를 위해 방음벽 제거와 교차로 건설 등 일반화 사업에만 4037억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이 투입된다.


재정난에 시달리고 있는 시의 입장에서는 사업비는 부담으로 다가올 수 밖에 없다. 여기에 더해 당장 내년부터 시의 소유가 되는 도로를 유지하기 위한 금액도 추가적으로 발생한다.

인천도시철도 2호선과 김포·시흥시를 연결하는 사업 비용도 만만치 않다. 2호선 완정역에서 김포 걸포지구까지 7.24㎞ 연결에는 국비를 제외하고 시비 1927억원이 소요되며 인천대공원~신천역~매화역을 잇는 사업에도 1354억원이라는 비용이 발생한다. 시의 계획대로 14개의 사업을 마치기 위해서는 국비를 제외하고도 3조 7309억원이 필요하다.

언제쯤 가능한가

이번 설명회에서 발표한 교통 주권 계획의 대부분은 밑그림을 그려 놓은 정도에 머물러 있다. 예비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지 못한 것이 대다수로 사업이 현실화 되기 위해선 꽤나 많은 시간이 걸릴 예정이다. 2호선과 김포·시흥을 잇는 사업은 2024년이 되어서야 예비타당성 조사와 설계에 돌입한다. 예산 책정과 편성, 공사 등의 절차를 거치게 되면 10년 이후에나 사업이 마무리된다는 이야기다.

인천도심을 순환하는 대순환선 완공은 2031년으로 예측하고 있다. 총 4구간 가운데 인천대공원~송도 구간을 연결하는 1구간의 본격적인 사업 진행도 2022년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59.6㎞ 전구간을 동시에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한정된 재원으로 사업에 제약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서 "1구간인 인천대공원에서 송도구간을 우선 추진해 향후 지역의 균형적인 발전과 시민들의 편리한 이동을 돕겠다"고 설명했다.


/곽안나 기자 lucete237@incheonilbo.com


관련기사
'인천교통주권' 출발부터 가물가물 인천시가 민선 6기 후반기 역점과제로 내세우고 있는 '교통주권' 정책의 세부적인 내용이 30일 공개됐다. 시의 역점사업인 인천발 KTX는 내년 기본 및 실시설계에 착수해 2020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개통이 이뤄지면 인천에서 대전까지는 1시간, 부산까지는 2시간40분, 광주까지 1시간55분만에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 사업은 인천시 뜻대로 이뤄지게 어렵게 됐다. 2017년 정부 예산안에 인천발 KTX 사업비가 37억원만 반영됐다. 200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내년 착공하려던 시의 계획은 틀어지게 됐다. 인천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