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300만 시대를 연다] 미래를 고민하자

인천은 '미래'를 논하고 있다. 300만 시민이 의식주를 해결하는 '메트로폴리탄' 인천에 대한 스펙트럼은 광범위하다. 과거 의존적 인천을 디딤돌로, 능동적 인천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시각이 공존하고 있다.

오는 10월 말로 예상되는 '300만 인천'은 어떠할까. <관련기사 3면>

지난 3월 '인천비전 2050 시민토론회'에서는 인천의 강점과 약점, 기회와 위협 요소가 동시에 제시됐다.

인천의 강점은 '세계적인 국제공항 및 항만 인프라'이고, 기회는 '경제자유구역, 중국, 동북아시아 성장'이다. 서울 의존적 도시 구조와 낮은 수준의 교육·문화 기능, 원도심 슬럼화로 인한 지역 간 불균형 가속, 한강 오염물질 유입, 매립 등으로 인한 해양환경 오염 등은 약점이고, 인천을 위협하고 있다.

시민들은 미래 인천에 희망적으로 답했고, 현재의 인천은 '개방적'이고, 미래의 인천은 '역동적'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눈여겨 볼 점은 미래 인천의 가치와 비전 키워드이다.

시민들은 인천 미래 가치를 풍요·성장에서 찾고, 안전·안심, 청정·쾌적을 원했다.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시민이 행복한' 것을 꼽았다.

바로 인천이 나갈 방향이다.

인천시는 300만 인천 비전과 관련해 '인천 미래 모습에 대한 분야별 어젠더'를 제시하고, 300만 인천에 맞춰 시민 자긍심을 높이고 역대 최대의 축제 주간을 설정해 운영할 계획이다.

여기서 주목할 점이 바로 '300만 인천의 격(格)을 맞추자'이다.

인천의 강점은 위치성이다. 공항과 항만이 세계의 창이 되고, 중국 등 동북아시아가 인천의 마당이다. 인천 성장을 경제자유구역이 견인하는 상태다.

하지만 '서울의 위성도시'로 취급하는 정부의 태도와 수도권에 묶여 가해지는 속박은 300만 시민을 괴롭히는 요인이자 인천 시민의 자긍심을 좀먹고 있다. 그럴듯한 문화시설 하나 없어 시민들은 힘겹게 서울을 찾아야 하고, 고등법원과 국세청 등의 기관도 여전히 없다.

"인천에 걸맞은 정치·경제·사회·문화 등이 이뤄져야 한다. 이 부분을 찾겠다"는 인천의 외침이 300만 인천을 목전에 둔 바람이다.

지난 2013년 직할시 승격 50년을 맞아 부산은 대대적인 '행복 찾기'에 나섰다. 대구 역시 침체된 지역 발전을 내부적 역량으로 돌파하려 애쓰고 있다. 이들 지역에서 부산학과 대구학을 논하는 것처럼 인천학을 배워야 한다.

26대 부산시장을 지낸 김영환씨는 미래 50년 부산에 대해 "잘 안 되고, 막혀 있고, 애로를 느끼는 병목구간과 어렵고 아파하는 사람들을 구석구석 파악해 쉼 없이 대처하고 뚫어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


관련기사
외적 성장 더불어 '내적 힘' 키워야 300만 인천 시민은 인천을 어떻게 생각할까. 살고 싶은 곳과 탈(脫) 인천이 공존하는 현실을 어떻게 해결할까. '인천 비전 2050 시민토론회'에서 제기된 인천의 강점과 기회는 '외부적' 요인으로 이뤄졌다. 위치성과 역사성 등이 주요한 인천의 힘이다. 반면 시민들의 걱정은 삶과 직결된다. 환경문제 및 지역갈등을 초래하는 혐오시설과 인천의 부정적 이미지, 부족한 교통망과 교육 기관, 수도권 규제, 남북관계 긴장, 지자체간 경쟁 심화 등이다. 팽창하는 인천에서 이들 약점을 소화하지 못하면 시민들의 행복도는 떨어질 게 분명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