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장
백종환.jpg

유정복 인천시장은 요즘 부쩍 '부자도시(富者都市) 인천'을 강조한다. 언론 인터뷰나 각종 강연 등에서 빠짐없이 등장하는 단어다. 부채가 많은 인천을 부자도시로 탈바꿈 시키겠다는 의지로 받아들여진다. 인천은 잘 알려진 것처럼 작년 말 기준 예산대비 채무비율이 33.2%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그나마 희망적인건 작년을 고비로 부채비율이 차츰 줄어드는 추세라는 점이다. 여기저기 씀씀이를 줄인 것도 있지만, 무엇보다 국비지원금을 많이 타낸게 큰 힘이 됐다. 시가 확보한 올 국비 지원금은 역대 최고인 2조8501억원이다. 부채액도 올해는 2조7300억원, 내년 2조2800억원, 2018년 1조9000억원으로 떨어질 전망이다. 유 시장이 부채도시 오명을 벗겠다는 자신감도 여기에서 근거한 것이다.

그러나 인천시 행정은 이같은 유 시장의 의지를 아직 따라가지 못하는 것 같다. 정부의 전략산업 육성정책인 '규제프리존' 대응 자세가 하나의 사례다. 규제프리존에 포함되면 해당 지역 산업의 각종 걸림돌이 '원샷'으로 해결되는 특혜를 누릴 수 있다. 수도권에 속한 인천·경기·서울은 규제 프리존 대상에서 쏙 빠져 있다. 미래 성장산업 기반 구축이 요원해진 셈이다.

하지만 인천은 아직까지 규제프리존에 대해 이렇다 할 대응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반면 처지가 같은 경기도는 최근 규제프리존 문제점을 조족조목 반박하는 연구보고서를 발표하는 등 적극 대응에 나서고 있다. 인천의 절박함이 상대적으로 부족해보이는 대목이다.

작년 미국 CNN방송은 글로벌 경영컨설팅업체 맥킨지 자료를 인용해 앞으로 10년 뒤 1인당 국내총생산(GDP) 기준 세계 7대 부자도시에 한국의 경기 화성(4위)과 충남 아산(5위)을 포함시켰다. 화성은 현대·기아자동차와 삼성·LG전자 등 대기업 공장들이 들어서 있고, 아산은 평택항을 통해 세계 조선산업에 큰 영향을 줄 것 이라는게 선정 이유다. 두 도시의 공통점은 확실한 미래 먹거리 성장 산업을 꿰차고 있다는 것이다. 규제 프리존에서 빠질 위기에 있는 인천이 참고해야 할 부분이다.

부자도시는 부채비율만 줄인다고 이뤄지는게 아니다. 미래 먹거리 산업의 발굴·육성이 필수 조건이다. 여기에 욕심을 보탠다면 인적 자원이 풍부한 도시, 마음이 넉넉한 도시, 정체성이 확실한 도시면 더 좋겠다. /편집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