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정체성을 살리기 위한 움직임이 또 하나 진행 중이다. 이번엔 다름아닌 '호칭'에 관한 것이다. 인천시가 '경기인천'으로 잘못된 표기되고 있는 호칭을 '인천경기'로 바로잡겠다고 나섰다. 어쩌면 너무 늦은 감이 있는 이 작은 움직임이 큰 울림으로 다가오는 것은 인천에 대한 애향심을 고취하고 인천시민들의 자존감을 높여주는 첫 걸음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다른 시도의 경우를 보면 부산과 경상남도의 경우 '부산경남'이라고 부르며 다른 시도 역시 울산경남, 대구경북, 광주전남, 대전충청이라고 표기하는 것이 상식이다. 이는 그냥 부르기 편해서 정한 것이 아니라 지방자치법 제2조 1항에 따른 표기법이다.

이 법엔 지방자치단체를 언급할 때에는 특별시→광역시→도 순으로 표기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인천과 경기도를 표기할 때는 인천광역시를 먼저 표기하고 경기도를 나중에 표기해야 맞는 것이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많은 경우 경기인천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도를 먼저 쓰고 뒤에 광역시를 붙인 것이다. 경인식약청, 경인지방통계청, 경인교대 등이 그런 사례이다. 심지어 수원 인천을 얘기할 때조차 수인(수원·인천)산업도로라는 명칭까지 사용되는 상황이다.

반면 다른 지역의 경우 영남권의 부경대학교, 부산경남지역세관본부, 대경(대구경북)대학교 등 모든 명칭을 광역시·도 순으로 쓰고 있으며 이 호남권 역시 광주전남지방병무청, 광주전남재향군인회 등으로 표기하고 있다.

인천시가 이런 모순을 바로잡기 위해 목소리를 낸 것은 정말 잘 한 일이다. 잘못된 호칭에서부터 인천의 발전상과 위상이 폄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는 인식을 한 것이다. 실제 언어학자에 따르면 언어는 의식을 결정한다고 한다. 시는 광역시간 표기 순서도 바로잡기로 했는데 전국 3대 도시임에도 서울, 부산, 대구 다음으로 표기되는 것이 문제가 있다고 보고 있다.

유정복 시정부가 들어서면서 시작한 인천정체성 찾기는 인천시민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다. 내가 밥 먹고 잠 자고 사는 땅이 서울 변두리가 아니라 유서 깊고 전통이 강한 곳이었는가에 대한 자부심을 일깨워주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시 정부의 정체성 찾기에 지지를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