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포천 경계 네트워크 구축...통근율 이미 대도시권 끈끈한 유대감 숙제
인천시가 부천·김포와 함께 거대도시지역(Mega City Region·메가시티)으로 나아가기 위한 '지역생활권' 논의를 본격화하고 있다. 행정구역을 초월해 시민 생활권을 공유하는 지역들이 힘을 합해 사업을 발굴하고 협력하기로 했다.

인천시는 28일 생활권발전협의회 제 1차 회의를 열고 인천과 부천, 김포를 하나로 묶는 지역생활권 발전계획을 검토했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유정복 인천시장을 포함해 민간전문가 13명, 인천시교육청 부교육감, 시 기획조정실장 등 총 16명으로 구성돼 있다. 협의회는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특별법'에 따라 설치된 조직으로, 지역생활권 발전계획에 대한 자문, 조정 기능 등을 수행한다.

협의회는 우선 2015년도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굴포천 Eco-Service 네트워크 구축사업' 추진에 힘을 모은다는 방침이다. 굴포천은 5개 지자체 경계에 걸쳐 있어 행정의 사각지대로 방치돼 있었다. 이번 사업은 부천시가 주관하고 부평구, 계양구가 참여해 굴포천 주변 비포장이나 포장불량, 추락위험 등의 개선 작업을 벌인다.

또 협의회는 지역생활권 공간구상축을 크게 3개로 나눠 정하기로 했다. 강화·김포는 생태전원축으로 묶인다. 협의회는 생태, 휴양, 농업 관련 신규 사업을 발굴하기로 했다. 검단·김포는 성장축을 담당해 산업, 관광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며, 부평·부천은 재생축으로 문화·주거 녹지 관련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시는 이 같은 공동발전안을 통해 서부 수도권의 경제·문화공동체를 구성할 계획이다.

이 3개 도시는 대도시권 설정 기준인 통근율로 보면 연계성이 높다. 보통 통근율이 5%가 넘으면 대도시권으로 보는데, 이들 지역 통근율은 10%를 웃돈다. 부천·김포로 출근하는 인천시민은 각각 5만5864명, 2만6033명이다. 반대로 인천으로 출근하는 부천시민은 4만3177명, 김포시민은 8826명이다.

문제는 지역 연대가 이뤄지기는 했으나 얼마나 끈끈하게 유지될 것인가는 아직 미지수라는 점이다. 지역 연대가 가능 할 수 있었던 것은 정부 지원 덕이 컸다는 얘기가 나온다. 이날 1차 회의를 통해 세 지역에서 발표한 창출 사업은 19개인데, 인천 단독 사업이 12개에 이른다. 대부분 정부가 지원하는 사업들이다.

시 관계자는 "협의회를 통해 지속적인 관심과 자문으로 해당 사업들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원진 기자 kwj7991@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