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항공정비산업(MRO) 계획의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의 이해할 수 없는 처사로 좌절될 위기에 놓였다 한다. 국내 항공산업의 메카이자 세계공항서비스평가 10연패를 이룩한 인천국제공항을 끼고 있으면서도 중앙정부의 의도적인 방해로 항공정비산업이 타 지역에 들어설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곧 항공기 안전을 책임져야 할 국토부가 오히려 안전사고를 방치하는 꼴이다. 인천시가 항공산업을 8대 전략사업으로 선정하면서 항공정비 추진과 관련 기업 유치 등 항공산업 육성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 의사를 공항공사에 타진했다 한다. 이에 앞서 지난 2009년 국토부는 인천공항 북측에 위치한 약 100만㎡ 땅을 항공정비특화단지로 고시했다. 소유주는 당연히 공항공사가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인천시가 MRO 추진을 위해서는 항공정비특화단지 사용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인천공항공사와 MOU를 맺는게 인천 항공정비산업의 첫 출발이지만 국토부가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

국토부에서 국회의원실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인천공항 항공기 결항률 중 정비와 관련된 결항이 2014년 1%였고 올해 1분기 결항률은 26%를 기록했다고 한다. 정비로 인한 결항이 2010년에서 2012년 사이 8% 안팎이던 것이 2014년에 18%를 기록하며 계속 증가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인천공항은 연간 국내·외 4500만명이 이용하는 동북아시아 최대 공항이다. 예정대로 3단계 공사까지 마치면 여객수용인원이 연간 6200만명으로 늘어날 예정이다. 제때 항공정비특화단지를 조성하지 못하면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인천국제공항도 알맹이 빠진 서비스만 제공한다는 오명을 받게 된다. 안전이 도외시된 서비스가 있단 말인가? 정부가 인천을 배제한 채 항공정비산업을 경남 사천과 충북 청주에 두려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혹여 지역안배라는 차원에서 정치적 논리가 개입된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기까지 하다. 국내·외 항공사들로 보고 항공정비를 받으러 먼 지방까지 비행기를 옮겨 가라는 말인가? 안전을 도외시한 정치적 논리를 배제하고 수요가 있는 곳에 공급을 제공하고 국가경쟁력 제고에 나서야 하는 것이 중앙정부의 소임이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