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 시장 전략산업 '항공' 정부 건의안 어떤 내용 담았나
민선 6기 유정복 인천시장의 핵심 공약인 8대 전략산업 중 '항공'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 때문에 인천은 상반기 안에 추진 예정인 인천 발 창조경제혁신센터에 항공 산업이 중심이 된 물류를 인천의 신규 먹거리 사업으로 내걸었다.

문제는 지난해 말 발표된 정부의 '제2차 항공정책기본계획'이다. 이 계획은 항공 사업 분야도 국토균형발전이란 명분론에 쌓여 있다.

인천과 인천국제공항, 인천공항 배후지에 대한 항공산업 계획에 힘을 빼는 계획이 상당수다. 이 계획 발표 후 인천 안팎에선 인천의 늦은 대응에 비판 목소리가 상당했고, 인천시가 빨리 정부 계획을 궤도 수정 시켜야 한다는 입장이 제기됐다.

이에 인천시는 국토교통부에 9개 분야 15개 항목의 항공정책사항을 전달했다. 건의안은 '인천'이란 지리적 장점 극대화와 인천 항공 산업으로의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구성됐다.

시는 항공정비산업과 관련해 인천국제공항 내 이미 고시된 항공정비단지 예정지 약 100만㎡를 조기 개발하도록 정부가 승인해 줄 것과 샤프에비에이션 주도로 저비용항공 운항 안전을 위해 추진되는 저비용항공전용 정비고 건립 사업을 즉시 승인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시는 조만간 인천국제공항공사와의 협약에 기초한 항공정비전문기업 유치 활동을 추진할 예정이다. 영종도가 공항자유무역지역이지만 수도권 규제에 묶여 항공산업 배후부지 개발이 안 되는 것도 문제라며 개선을 요구했다.

정부가 영종도에 자리한 항공안전기술원을 이전하려는 움직임에도 '안돼'라며 쐐기를 박았고,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세계항공대학을 인천글로벌캠퍼스에 유치하는 게 최적이라는 입장도 나타냈다. 특히 인천국제공항의 도시명 표기를 '서울'이 아닌 '인천'으로 바로잡아야 한다는 뜻도 함께 전했다.

인천국제공항 힘을 빼기보다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때라는 입장도 건의안에 다수 포함됐다.
정부가 항공과 관광산업을 연계한다며 내놓은 신규항공수요에 대해선 "인천의 관광상품(섬, 개항장 등)과 연계한 환승객 증대 및 신규항공수요 창출이 필요하단 의견과 함께 인천공항 허브역량 강화를 위한 김포공항 등 분산 국제선 배치를 제고할 것과 지역 주민과 외국인의 인천공항 접근성을 높일 최고 방법은 지방공항에서 인천공항으로의 직항편을 신설하는 게 맞다는 해결책도 내놓았다. 김포공항에 세우려는 국립항공박물관 계획 역시 "대한민국의 항공운송산업을 대표하는 지역에 자리해야 하고, 최적지는 영종이다"고 입지 변경을 정부에 요청했다.

전국의 항공산업 계획은 이미 날개를 달았다.
국토부는 항공정비산업 육성방안 중 페인트 격납고 등 정비시설 지원을 인천공항을 배제한 '한국공항공사'로 못 박았고, 최근 무안국제공항을 경항공기 정비시설 구축 대상 공항으로 최종 선정했다.

충청북도는 일찌감치 청주 항공정비단지(MRO) 조성사업(청주 에어로폴리스)을 벌이고 있고, 경상남도는 지난해 12월 군용 훈련기를 제작하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와 손잡고 군용기 정비와 관련한 산업화 전략에 나섰다.

인천은 뒤늦나마 공항정책, 항공산업정책을 망라한 '제1차 인천시 항공산업육성 기본계획(2016~2020년)'을 수립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볼 때 항공산업은 선택과 집중 정책으로 진행 중이고, 인천은 이미 공항과 항만배
후부지 등 상당한 장점을 갖고 있다"며 "정부에 민선 6기 항공정책 방향을 전달해 항공산업을 인천의 중추적 산업으로 이끌겠다"고 말했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