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해양수산부가 "북한과 해양수산을 통한 통일시대 준비에 나설 예정"이라는 뜻을 밝혀 귀추가 주목된다. 해수부는 이를 위해 북한에서 생산된 신선 수산물 반입을 위한 활어 컨테이너 등 관련 시설 지원은 물론이고 북한의 항만개발사업 발굴과 진출방안 등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해수부의 이같은 발표에 주목할 수밖에 없는 것은 지리적조건이나 물류환경적 조건으로 보아 인천이 남북해상교육장소로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다.

해수부가 남북한 공동 생태조사를 거쳐 조명할 친환경 해양관광상품개발은 사실상 인천 연안부두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지역에선 풀이하고 있다. 남북 해양관광상품 개발, 나아가 서해 문인도서를 '평화도서'로 지정해 공동개발할 계획이고 보면 이같은 해수부의 방침은 인천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인천은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연평도, 우도 등 서해 5도와 강화의 교동도가 북한과 지리적으로 친밀하게 맞닿아 있다. 백령도에선 북한의 장산곶이 훤히 보이며, 강화 교동도의 경우 과거 우리나라가 분단이 되기전엔 강화본도보다 북한 황해도 연백땅이 더 가까워 교류도 많았었다. 인천의 지리적 조건이 매우 적합한 이유이다.

정부는 특히 북한 항만 개발사업 진출과 관련해 제3국 선박을 이용한 남북항로 물류수송 등을 공식화했는데 여기서 북쪽의 남포항과 남쪽의 인천항을 연계시켰다. 한반도의 허브항으로 인천항과 남포항이 '투-포트' 시스템이 갖춰질 경우 엄청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정부의 이번 계획이 기대되는 것은 이를 통해 남북의 침체된 경제가 동반 성장, 상승할 수 있고 경제교류에 따란 한반도 긴장완화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북한이 위기를 조장하는 것은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그 중 가장 큰 것이 경제적 어려움에서 벗어나기 위함이라는 사실은 누구라도 알고 있다. 과거 천안함, 연평도 피격 사건 역시 정치적 문제로 시작됐고, 백번 잘못한 일이나 실은 세계 경제로부터 고립된 북한이 돌파구를 찾기 위한 오판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번 정부의 방침에 맞춰 서해의 심장인 인천은 통일의 중심축으로, 해양중심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