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연초부터 불거진 수도권매립지 연장 논란이 급기야 모든 지역 이슈를 잠식해 버릴 기세다.
합의와 통합의 상징이었던 여야정협의체는 개최가 무산됐고, 수도권매립지의 합리적 해결을 위해 마련된 시민협의회는 시작부터 절름발이 신세다.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지역 정치인들의 최근 행보는 무척이나 '정치적'으로 보인다. 대화를 통한 해결책 마련은 뒤로한 채 정치적 유불리에 몰두하는 모양새다.
먼저 여야정협의체는 당초 장소까지 섭외했지만 수도권매립지 해결을 놓고 여야가 대치하면서 무산됐다. 인천시의회도 이 문제로 여야 간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매립지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협의회도 여야 정치권과 일부 시민사회단체가 불참을 선언하면서 반쪽짜리로 전락했다.

수도권매립지 문제는 오래전부터 잠재해 있던 지역의 핫 이슈다. 전임 송영길 시장이나 현 유정복 시장에게도 쉽지 않은 사안임이 틀림없다. 나아가 전임 시장이나 현 시장의 해결책이 다를 것이라고도 생각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지금의 대립과 갈등은 결국 정쟁이라 말할 수밖에 없다.
시민을 위한다고 아무리 포장한다고 해도 대화를 외면하고 이익만을 쫓는 정치행위는 시민들로부터 환영받을 수 없다.

곪았던 환부는 터뜨려야 치료할 수 있다. 숨길 때도 변명할 때도 아니다.
지난 2012~2013년 지역 최대 현안이었던 재정위기 극복과 인천아시아경기대회의 성공 개최를 위해 뭉친 '인천시 재정위기 비상대책 범시민협의회'는 성숙한 지역정치의 모범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협의회는 진보와 보수를 막론하고 150여개 지역 시민·사회단체가 모여 한 몸처럼 활동한 대표적인 민간단체다. 현안마다 다른 목소리를 내던 단체가 하나로 모여 재정위기 극복과 아시안게임 성공개최를 외치며 200만 서명운동을 벌였고 서구 주경기장의 정부지원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현재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그 때 당시 기억을 한번 되살리는 것은 어떨지 한번 제안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