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없는 싸움 언제까지?
성숙한 정치는 극렬한 대립과 갈등이 사회를 뒤덮을 때 합의와 조율을 통해 해결책을 제시한다.

하지만 인천지역 정치는 대안 없이 서로를 공격하는 구태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지난 2012~2013년 지역 최대 현안이었던 재정위기 극복과 인천아시아경기대회의 성공 개최를 위해 뭉친 '인천시 재정위기 비상대책 범시민협의회'와 '여야정협의체'는 성숙한 정치의 모범이었다. 현재 갖가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그 때 당시 기억을 되살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안 없는 '네 탓' 공세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지역 국회의원들은 지난 11일 인천시청에서 개최한 수도권매립지 기자회견에서 기자들의 질문 공세에 시달렸다. 질문 핵심은 '대안이 있느냐'였다. 이에 한 의원은 "우리가 대안을 가지고 나온 것은 아니다"라고 고백했다.

이는 매립지 논란을 둘러 싼 지역 정치의 단면을 보여준 사례다. 새정치연합 소속의 한 인천시의원은 "불과 6개월 전에 우리가 정권을 가지고 있었다. 매립지에 대한 해결책을 내놓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라고 말했다.

'네 탓' 공세는 오래도록 정치권에 만연해 있다. 시 재정난의 책임을 새정치연합에 묻고 있는 새누리당도 지난 2007~2010년 이뤄진 8495억 원에 달하는 '분식결산'에 대해선 묵묵부답이다. 당시 시 집행부를 차지한 정당은 새누리당의 전신인 한나라당이었다.

과거 사례를 볼 때 정치권의 네 탓 공세는 어떤 해결책도 내놓지 못했다.

▲지역 현안에 뭉쳐야

인천아시아경기대회를 앞두고 결성된 범시민협의회와 여야정협의체는 지역 정치의 모범적인 사례로 꼽힌다.

협의회는 진보와 보수를 막론하고 지역 시민·사회단체가 모여 한 몸처럼 활동한 대표적인 민간단체다.

현안마다 다른 목소리를 내던 150여개의 단체가 하나로 모여 재정위기 극복을 외치며 200만 서명운동을 벌였다. 협의회의 영향력은 결국 서구 주경기장 건설비를 정부가 더 지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지역 국회의원 12명이 참여한 여야정협의체도 마찬가지다.

이들은 지난 2013년 정부가 대회를 더 지원하는 내용의 국제경기 지원법 개정에 다 같이 서명하는 풍경을 연출했다.
결과적으로 법안은 부결됐으나 여야 정치권이 지역 현안에 힘을 모았던 사례로 기억되고 있다.

협의회에서 활동했던 신규철 인천사회복지보건연대 사무처장은 "정치권은 사안을 당리당략으로 보지 말고 약속을 지키면 싸울 일이 없다. 현안에 대한 공약은 여야가 거의 같다"라며 "매립지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야와 진보, 보수를 막론한 넓은 소통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박진영 기자 erhist@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