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립公 "4자협의체 결과 기다려" … 서울·경기·정부 '인천' 압박
인천수도권매립지 제3매립장이 이미 설계를 마치고 '착공'만을 기다리고 있다. 2016년 매립 종료를 고수하는 인천시의 반발에도 환경부는 제3매립장 설계에 필요한 각종 행정 절차를 마친 가운데 서울·경기와 함께 '절대공기' 부족을 이유로 인천을 압박하고 있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제3매립장에 대한 실시설계가 끝난 상황으로 4자협의체의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공사는 지난 2006년 수도권매립지 제3매립장에 대한 기반시설 실시설계 용역을 시도했다. 이후 2011년 5월 실시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용역 후 같은해 8월 조성공사 전면책임감리용역까지 마쳤다. 제3매립장 설계에 필요한 절차가 상당 부분 끝난 것이다.

공사는 "제3매립장에 대한 설계를 마쳤다"며 "이 후에는 매년 공사비의 변동 요인에 대해서만 설계에 반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제3매립장 부지 규모는 394만㎡로 공사비는 약 1500억원으로 추산된다.

공사는 그러나 제3매립장 설계가 끝났지만 공유수면매립에 대한 시의 허가가 언제 승인될지 기약이 없는 만큼 공기에 대해선 장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동안 공사는 제3매립장 설치 승인을 받기 위해 여러번 시도했지만 시가 매립 종료 입장에서 물러서지 않았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지난 3일 인천·서울·경기·환경부가 수도권매립지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4자 협의체를 제안했고, 지난 16일 첫 회의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시·도의 국장급 실무단이 꾸려져 현재 인천이 언급한 수도권매립지와 관련한 선제적 조치에 대한 논의를 구체화하고 있다. 선제적 조치는 수도권매립지의 지분권(서울시 71.3%, 환경부 28.7%), 인천시 일괄 이양,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관할권 인천시 이관,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정책 등이다.

이 때문에 시 일각에선 선제적 조치 후 제3매립장 사용을 놓고 서울·경기·환경부가 목소리를 높일 것이란 우려가 크다.

서울·경기·환경부는 2016년 매립이 종료되면 쓰레기 대란이 불가피하다며 제3매립장 건설을 서둘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제2매립장의 포화시점을 2017년 11월로 전망하고 제3매립장 건설에 필요한 공기가 57개월인 점을 앞세웠다. 최근에는 절대공기가 43개월로까지 단축됐다.

시 관계자는 "시는 선제적 조치에 대한 해결만을 우선으로 한다"며 "제3매립장 등에 대해선 전혀 검토한바가 없다"고 말했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