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총론만 있을 뿐 각론이 없다. 민선 6기 시정부의 공약이 그렇다. 지난 주 시는 '원탁 토론'이란 형식을 빌려 민선 6기 공약을 내놨다. 5대 가치, 18대 정책, 131개 과제를 최종 확정했다. 유정복 시장이 후보자 시절 내놨던 100대 공약과 지역별 공약을 다듬은 수준이다. 공약의 근간이 되는 5대 핵심 가치는 인천과 시민에 방점을 뒀다. 인천 KTX시대의 개막, 경제가 살아나는 인천, 시민이 행복한 도시 등이다. 좋은 얘기다. 인천과 시민을 위한 행정을 하겠다는데 누가 마다 하겠는가. 하지만, 시민들의 느낌은 다르다. 피부에 와닿지 않는다고 한다. 오히려 거창한 '말 잔치'에 불과하다는 인식이 강하다. 현실과 동떨어진 것 같다는 말도 나온다. '재정 암흑기'에 처한 시의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공약이란 얘기다.

모든 공약엔 재원이 따른다. 민선 6기도 마찬가지다. 필요한 재원만 어림잡아 10조원에 이른다. 간단치 않은 액수다. 시는 공약 이행 소요비용 가운데 자체 부담이 18%에 불과하다는 점만 강조한다. 나머지는 민간자본과 국비로 충당하겠단 입장이다. 탁상공론이란 생각이 든다. 구체적인 재원조달 방안이 없어서다. 공약 실행에 대한 의구심이 든다. 민간자본이 그렇다. 시는 3조8705억원을 이 자본으로 충당할 요량이다. 현실을 모르는 얘기다. 지금 한국 경제는 위기다. 저성장 늪에 빠져 일본과 같은 장기 불황을 걱정해야 할 처지다. 불확실성 확대로 기업들은 투자를 꺼리고 있다. 이처럼 녹록지 않은 경제 상황에 과연 시가 민간자본을 얼마나 유치할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선다.

인천도 비슷하다. 내수 부진 등으로 밑바닥 경제는 침체된지 오래다. 그나마 반짝하던 송도의 부동산 경기도 한풀 꺾인 상태다. 내년을 장담할 수 없다. 시민들이 걱정하는 것도 '경제'다. 꺼져가는 지역 경제를 살려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시민들의 풍요로운 삶은 '경제 활성화'와 직결돼 있기 때문이다. 공약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보여주기'식 공약은 의미가 없다. 시민들은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시의 정책을 원한다. 지금부터라도 시는 경제를 살릴 묘책을 내놔야 한다. 그래야 민선 6기 공약도 '빛'을 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