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
인천 산업 '엔진'이라 불리는 남동국가산업단지가 올해로 조성 30주년을 맞았다. 수도권 정비 및 공업 재배치를 위해 지난 1985년 4월부터 조성공사가 시작된 남동산단은 그동안 인천 경제 큰 축으로 인정받았다. 현재 남동산단은 입주 업체만도 9000여개에 달하고 근로자 수만도 9만 명에 이르고 있다. 기계, 화학, 전자 등 다양한 업종들이 서로 어울려 경쟁하며 인천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나아가서는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들로 성장해 왔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남동산단은 모진 풍파를 겪고 있다. 산단 인프라는 좀처럼 개선되지 못한 채 인근 논현지구, 송도국제도시 영향으로 토지가는 대폭 상승, 기업 이전을 부추겼다. 사업을 확장하고 싶어도 마땅한 토지를 확보하지 못한 유력한 기업들이 김포나 지방행을 선택해야했다. 또 아주 오래전부터 구로디지털단지를 모델로 추진해 오던 구조고도화 사업도 제자리걸음을 걷는 등 남동산단은 그야말로 정체된 상태다.

주차난은 여전히 해결 기미를 보이지 않고, 부족한 교통망은 기업들의 인력 채용에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들은 이번 국정감사에서 여실히 드러났다. 노후한 국가산단이 기업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것은 물론 최근 화두가 된 재난 및 안전 관리에도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전부였다. 국정감사에서는 열악한 국가산단 인프라를 공감하는데 그치며 정작 근본적인 해결책은 제시하지 못했다. 한국산업단지관리공단과 지자체에 대한 비난은 계속됐지만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예산 투입에 대해서는 소홀히 했다. 지역 내 국가산단이 가진 고질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예산 투입은 필수지만 실제 실행 대책에 대해서는 건진 것이 없다.

인천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국가산업단지 3곳을 품고 있다. 송도, 청라, 영종 경제자유구역이 어느새 인천의 신 성장 동력으로 자리잡아가고 있지만 이는 국가산단 활성화가 이뤄지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 과거나 지금이나 제조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인천에서 열악한 산단 인프라가 기업들의 부실을 부채질하지 않을까 우려된다. 국가가 조성한 산업단지는 이른바 그 '품질'이 보장돼야 한다. 국가산단 입주 업체라는 자부심을 갖고 기업들이 인천 성장을 이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대대적인 수술이 당장 이뤄져야 한다.